지난해 초순 미국 워싱턴DC에 특파원으로 부임했을 때부터 눈여겨봐 온 것이 있었습니다. 주미 한국대사관 관계자들이 상의 왼쪽에 달고 다니는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 배지’입니다. 노란색 바탕에 태극기와 성조기가 나란히 붙은 정사각형 모양의 큼직한 배지가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오길래 종종 의미를 묻곤 했습니다. 착용자들은 “소속감과 돈독한 양국 관계를 고려”해 배지를 달고 다닌다고 답했습니다.
2013년 한·미 동맹 60주년을 맞아 한국 외교부가 제작한 배지는 미국에서도 적지 않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미 국무부·국방부 등 전시실에도 등장했고, 선물로 받은 미 정부 관계자들도 “좋은 기념품”이라는 평가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미 간 회의나 행사 때 한국 측 관계자들만 달고 나와 ‘외교적 저자세’가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도 받았습니다. 미국 측은 성조기만 들어간 배지를 달고 나오니 자연스럽게 비교가 된 것이지요.
그러던 중 최근 대사관의 한 관계자로부터 “배지를 착용한 지 2년이나 됐으니 더이상 안 쓸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세간의 관심을 받아 온 배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도 있겠구나’ 싶었지요. 이런 생각에 기름을 부은 것은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14일(현지시간) 주미 한국대사관 국감에서 배지에 대해 “우리가 미국의 50개 주 중 하나로 보인다. 자주성과 주체성이 결여돼 있고 촌스러운 것 같다”고 한 지적이었습니다. 이 의원이 배지 문제를 지적한 것은 그만큼 배지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물론 배지 제작을 주도했던 안호영 주미 대사는 국감 후 오찬에서 배지의 의미를 강조하며 이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일선에서는 “배지를 놓을 때가 됐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왔습니다.
그래서일까요. 15일 행사장 등에서 만난 몇몇 대사관 관계자들의 상의에서 배지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한 관계자는 “이번 기회에 태극기만 넣은 배지로 바꾸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한·미 동맹 배지의 운명이 더 궁금해집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3년 한·미 동맹 60주년을 맞아 한국 외교부가 제작한 배지는 미국에서도 적지 않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미 국무부·국방부 등 전시실에도 등장했고, 선물로 받은 미 정부 관계자들도 “좋은 기념품”이라는 평가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미 간 회의나 행사 때 한국 측 관계자들만 달고 나와 ‘외교적 저자세’가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도 받았습니다. 미국 측은 성조기만 들어간 배지를 달고 나오니 자연스럽게 비교가 된 것이지요.
그러던 중 최근 대사관의 한 관계자로부터 “배지를 착용한 지 2년이나 됐으니 더이상 안 쓸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세간의 관심을 받아 온 배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도 있겠구나’ 싶었지요. 이런 생각에 기름을 부은 것은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14일(현지시간) 주미 한국대사관 국감에서 배지에 대해 “우리가 미국의 50개 주 중 하나로 보인다. 자주성과 주체성이 결여돼 있고 촌스러운 것 같다”고 한 지적이었습니다. 이 의원이 배지 문제를 지적한 것은 그만큼 배지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물론 배지 제작을 주도했던 안호영 주미 대사는 국감 후 오찬에서 배지의 의미를 강조하며 이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일선에서는 “배지를 놓을 때가 됐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왔습니다.
그래서일까요. 15일 행사장 등에서 만난 몇몇 대사관 관계자들의 상의에서 배지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한 관계자는 “이번 기회에 태극기만 넣은 배지로 바꾸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한·미 동맹 배지의 운명이 더 궁금해집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9-17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