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 박사는 무서워하던데…뱀의 학명에 해리슨 포드의 이름이

존스 박사는 무서워하던데…뱀의 학명에 해리슨 포드의 이름이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8-16 12:16
업데이트 2023-08-16 1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해리슨 포드 AFP 자료사진
해리슨 포드
AFP 자료사진
이미지 확대
남미 페루의 안데스 산맥 자락  오티시 국립공원 안에서 발견된 새 뱀 ‘Tachymenoides harrisonfordi’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 제공
남미 페루의 안데스 산맥 자락 오티시 국립공원 안에서 발견된 새 뱀 ‘Tachymenoides harrisonfordi’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 제공
영화 속의 인디아나 존스 박사는 뱀을 무척 무서워하는 것으로 나온다. 그런데 배우 해리슨 포드(81)가 자신의 이름이 학명에 들어간 뱀 종류를 갖게 됐다고 해서 화제다.

남미 페루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인데 포드가 평소 환경 보전 운동에 열심이었던 점을 높이 사 학명을 ‘Tachymenoides harrisonfordi’로 지었다고 영국 BBC가 15일(현지시간) 전했다. 그는 비영리단체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의 부총재로 일하고 있는데 이 소식을 듣고 “몸둘 바를 모르겠다”고 했다.

포드의 이름은 전에도 개미와 거미 학명에 들어갔다.

그는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과학자들이 내 이름을 따 계속 새로운 종들의 이름을 지어준다. 그런데 늘 아이들을 겁에 질리게 하는 종들에만 내 이름이 들어간다”고 너스레를 떤 뒤 “이해할 수가 없다. 나는 짬이 나면 십자수를 한다. 또 바질 식물들에게 자장가를 불러주곤 한다. 그러면 그네들은 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가 젊은 시절 목공이었을 정도로 손재주가 있었는데 십자수를 한다니 놀랍기도 하다.

실제로 그는 뱀들을 무척 좋아한다고 여러 차례 밝힌 적이 있으며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종과도 빨리 친해지고 싶다”면서 “뱀의 눈을 들여다보면 빨려들 것 같다. 더러운 물웅덩이 옆에서 볕을 쬐고 있곤 한다. 60대 초반부터 우리는 친구 사이가 된 것 같다. 우리의 거친 세상에 대해 배워야 할 것이 여전히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인간은 불가능할 정도로 광대한 생태계의 정말 작은 일부에 불과하다”고 했다.

문제의 종은 페루와 미국 과학자들이 페루 안데스 산맥에 자리한 오티시 국립공원 안에서 발견했으며 40.6㎝까지 자라는 날씬한 종이다.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연구를 주도한 에드가 레흐(Edgar Lehr)는 “동물학자에게 새 종을 묘사하고 이름을 지어 알리는 일은 생태 다양성이 위기에 처한 시점에 가장 필수적인 일 중의 하나”라면서 “유기체가 알려져야만 보호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발견이 전 세계의 다양한 종들이 멸종 위기에 직면한 것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널리 알려진 대로 파충류가 특히 멸종 위기에 몰려 있다.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 연구진이 공동 저술한 논문에 따르면 파충류의 5분의 1 이상은 현재 멸종 위협에 처해 있다.

포드의 이름이 새로운 종 학명에 처음 들어간 것은 1993년이었다. 캘리포니아 거미인데 ‘Calponia harrisonfordi’로 지어졌다. 그로부터 몇 년 뒤에 개미의 새 종 학명이 ‘Pheidole harrisonfordi’로 붙여졌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