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中 베이징·충칭법인 매각…현대차·기아 판매부진 영향

현대제철, 中 베이징·충칭법인 매각…현대차·기아 판매부진 영향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8-16 10:24
업데이트 2023-08-16 1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현대제철 엠블럼. 서울신문 DB
현대제철 엠블럼. 서울신문 DB
2017년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중 갈등 심화로 현대차·기아의 중국 내 실적이 급락하자 이들에 자동차 강판을 제공하는 현대제철이 베이징법인과 충칭법인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16일 현대제철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현대스틸 베이징 프로세스’와 ‘현대스틸 충칭’을 매각 예정 법인으로 공시했다. 두 법인의 사업보고서상 자산 규모는 824억 8300만원이다. 현대제철은 잠재 매수자와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실사 작업에 돌입했다.

현대제철 베이징·충칭법인은 국내에서 들여온 자동차 강판을 재가공해 현대차·기아의 베이징·충칭 공장에 납품하고자 각각 2002년, 2015년 설립됐다. 그러나 사드 배치 이후 중국 정부의 암묵적 한한령(한류제한령) 개시로 한국 기업에 대한 직간접적 보복 조치가 이어지면서 중국 내 현대차·기아의 판매 실적이 곤두박질쳤다. 결국 현대제철도 이 영향을 받아 중국 법인 사업에 타격을 입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3위로 올라서는 등 세계 각국에서 영향력을 키우지만 중국 시장만큼은 예외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현대차의 중국법인인 ‘북경현대기차’의 지난해 매출은 4조 9003억원으로 사드 갈등 전인 2016년 20조 1287억원 76% 감소했다. 기아의 중국법인 ‘강소열달기아기차’ 역시 지난해 매출이 1조 8835억원으로 2016년 9조7996억원 대비 81% 줄었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가 한반도 사드 배치로 어려움을 겪은 동시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바뀌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흐름을 놓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한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중국 법인들은 현대제철의 자동차 강판을 재단해 중국 공장에 공급해주는 전진기지 같은 곳”이라며 “현대차·기아의 중국 판매가 둔화해 현대제철도 중국 내 중복 사업을 정리하게 됐다”고 말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