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국왕 등에 손 얹은 바이든…‘의전결례’일까

英국왕 등에 손 얹은 바이든…‘의전결례’일까

윤예림, 신진호 기자
입력 2023-07-12 17:15
업데이트 2023-07-12 1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이든 대통령, 찰스 3세 등에 손 얹어
英전문가 “왕가의 엄격한 불문율 어겨”
왕실 관계자 “의전에 부합하는 행동”

이미지 확대
찰스 3세 영국 국왕 등에 손 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 등에 손 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유럽 순방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찰스 3세 영국 국왕에게 왕실 의전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와 미국 CNN 방송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윈저성을 찾아 찰스 3세를 만났다. 찰스 3세는 건물 밖으로 나가 차에서 내리는 바이든 대통령을 맞이했고, 악수를 나눈 이들은 근위병 악대가 연주하는 양국 국가를 감상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찰스 3세의 등에 가볍게 오른손을 얹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왕족이 먼저 나서지 않는 경우 개인적인 신체 접촉을 해서는 안 된다는 영국 윈저 왕가의 엄격한 불문율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1976년에 설립돼 현재까지 ‘영국 귀족 연감’을 펴내고 있는 디브렛 출판사의 한 전문가는 과거 한 언론 인터뷰에서 “왕족이 먼저 포옹해오거나 팔을 둘러올 수는 있지만, 당신은 일단 가만히 기다리며 어떤 품행이 적절할지 살펴보는 것이 낫다”고 조언한 바 있다고 인디펜던트는 소개했다.

다만 익명의 한 영국 왕실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접촉’을 두고 “두 사람과 두 국가 사이 따뜻함과 애정의 훌륭한 상징이었다”고 언급하며 논란을 일축했다고 CNN은 전했다. 이 관계자는 “국왕 폐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접촉을 전적으로 편안해한다”면서 “일부 보도와 달리 의전에 부합하는 행동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가는 길을 이끌려고 손을 내민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모습. AP 연합뉴스
가는 길을 이끌려고 손을 내민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모습.
AP 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외에도 윈저성 안을 산책할 때 찰스 3세를 앞질러 걷는가 하면, 앞에 서 있던 근위병과 마주치자 길게 대화를 이어가려고 고개를 돌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가는 길을 이끌려고 손을 내밀던 찰스 3세가 어색하게 웃으며 뒤에 서서 기다리는 듯한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도 데일리메일 등 다수의 영국 언론이 ‘부적절 의전’이라고 지적했으나, 한 왕실 소식통은 인디펜던트 인터뷰에서 “틀린 행동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다만 왕족을 어떻게 대할지를 성문화한 구체적 예법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왕실 홈페이지에도 “의무적인 행동 규범은 없다”고 안내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찰스 3세 영국 국왕과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과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윤예림 인턴기자·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