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대법원 판결따라
26개 주 사실상 낙태금지
불법시술·낙태비 상승 우려
미국 연방대법원이 낙태권을 보장한 판결을 뒤집으면 여성들이 낙태가 허용된 주를 찾아 최대 867㎞까지 이동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또 불법 낙태와 의료비용 상승, 지역 쏠림현상 등 부작용 우려도 제기됐다.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열린 낙태권 보장 촉구 집회에서 한 시민이 “여성을 존중하라. 우리의 선택이다”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90여개 비영리 시민단체로 구성된 ‘위민스 마치’는 최근 텍사스주에서 시행된 낙태금지법에 항의하고 연방대법원에 낙태권보장을 촉구하기 위해 ‘낙태 정의를 위한 집회’를 개최했다. 미 전역 600여개 도시에서 12만명 이상이 모여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라고 외쳤다. 시애틀 로이터 연합뉴스
또 약물을 통한 불법낙태가 증가하고, 낙태 합법화 지역에 사람이 몰려 대기시간이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미국 산부인과 의사협회 소속 니샤 버마유는 “미국은 선진국 중 산모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인데 낙태가 금지되면 낙태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조기 유산 또는 자궁외 임신을 돌볼 수 젊은 의사 훈련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판결이 뒤집히면) 미국 일부 주는 터키와 튀니지와 같은 중동의 일부 국가보다 더 엄격한 규정을 갖게 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재 13∼44세 미국 여성 중 4000만명 이상이 제한적 낙태권을 가진 주에 거주하는 만큼 이들이 다른 지역으로 떠나 노동 참여·수입 감소 등으로 연간 1050억달러(약 133조원)의 경제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여성정책연구소의 분석 결과를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