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낙태권’ 폐지되면…“낙태받으러 최대 867㎞ 원정가야”

[속보] ‘낙태권’ 폐지되면…“낙태받으러 최대 867㎞ 원정가야”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2-05-04 15:45
수정 2022-05-04 16: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 연방대법원 판결따라
26개 주 사실상 낙태금지
불법시술·낙태비 상승 우려

미국 연방대법원이 낙태권을 보장한 판결을 뒤집으면 여성들이 낙태가 허용된 주를 찾아 최대 867㎞까지 이동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또 불법 낙태와 의료비용 상승, 지역 쏠림현상 등 부작용 우려도 제기됐다.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열린 낙태권 보장 촉구 집회에서 한 시민이 “여성을 존중하라. 우리의 선택이다”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90여개 비영리 시민단체로 구성된 ‘위민스 마치’는 최근 텍사스주에서 시행된 낙태금지법에 항의하고 연방대법원에 낙태권보장을 촉구하기 위해 ‘낙태 정의를 위한 집회’를 개최했다. 미 전역 600여개 도시에서 12만명 이상이 모여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라고 외쳤다. 시애틀 로이터 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열린 낙태권 보장 촉구 집회에서 한 시민이 “여성을 존중하라. 우리의 선택이다”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90여개 비영리 시민단체로 구성된 ‘위민스 마치’는 최근 텍사스주에서 시행된 낙태금지법에 항의하고 연방대법원에 낙태권보장을 촉구하기 위해 ‘낙태 정의를 위한 집회’를 개최했다. 미 전역 600여개 도시에서 12만명 이상이 모여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라고 외쳤다. 시애틀 로이터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낙태권 옹호 단체인 미 구트마허연구소는 대법원이 여성의 낙태권을 보장하는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무효화하면 미국 50개 주 중 텍사스, 유타, 미주리 등 26개 주가 낙태를 금지하거나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학자 케이틀린 놀스 메이어스 교수는 상당수 낙태 기관이 문을 닫을 것이며, 이로 인해 루이지애나에 사는 여성의 경우 539마일(867㎞) 떨어진 곳까지 ‘원정낙태’를 떠나야 한다고 예측했다. 플로리다 여성은 425마일, 미시시피는 401마일이나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메이어스 교수는 “낙태 희망 여성 4분의 1은 원거리 이동을 할 수 없어 결국 원치않는 출산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에서 매년 약 86만건의 낙태가 시행된다. 현재도 저소득층이나 유색인종 등은 낙태하기가 어려운 만큼 낙태가 금지되면 취약계층에 더 타격이 갈 수도 있다.

또 약물을 통한 불법낙태가 증가하고, 낙태 합법화 지역에 사람이 몰려 대기시간이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미국 산부인과 의사협회 소속 니샤 버마유는 “미국은 선진국 중 산모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인데 낙태가 금지되면 낙태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조기 유산 또는 자궁외 임신을 돌볼 수 젊은 의사 훈련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판결이 뒤집히면) 미국 일부 주는 터키와 튀니지와 같은 중동의 일부 국가보다 더 엄격한 규정을 갖게 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재 13∼44세 미국 여성 중 4000만명 이상이 제한적 낙태권을 가진 주에 거주하는 만큼 이들이 다른 지역으로 떠나 노동 참여·수입 감소 등으로 연간 1050억달러(약 133조원)의 경제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여성정책연구소의 분석 결과를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