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판다본드 발행 인기… 딤섬본드 첫 추월

중국서 판다본드 발행 인기… 딤섬본드 첫 추월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10-06 19:07
업데이트 2016-10-06 1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에서 외국 기업이 발행하는 위안화 표시 채권을 뜻하는 ‘판다본드’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판다본드 발행은 29건, 118억 달러로 중국 밖에서 팔린 위안화 채권을 말하는 ‘딤섬본드’(72억 달러)를 처음으로 앞질렀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6일 보도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카먼 링은 “중국과 사업하는 외국 기업들이 펀딩 경로를 넓히려 하기 때문에 판다본드 발행 속도는 계속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그는 역내 자금 조달 비용이 역외 시장보다 1% 포인트 정도 낮으므로 판다본드 발행이 단기적으로 딤섬본드를 능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판다본드는 2005년 처음 도입됐지만, 중국이 외국 기업의 자국 채권 시장 진입을 엄격하게 규제했기 때문에 2005∼2015년 발행액은 18억 달러에 그쳤다. 국제금융공사나 아시아개발은행 같은 소수의 대형 기관만 판다본드 발행을 승인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규제가 완화돼 외국 기업이나 중국계 해외 법인에도 판다본드 시장이 열렸다.

게다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014년 말부터 금리를 인하한 덕분에 채권 금리도 대폭 낮아져 중국 채권시장 매력이 커졌다.

 2015년 8월 이후 위안화 절하로 외국 투자자들이 딤섬본드를 사기를 꺼려 해 딤섬본드 금리가 올라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링은 판다본드 시장이 커진다고 더 개방적이고 유연한 딤섬본드 시장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시장에서 발행할지는 자금 조달 필요성과 비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판다본드를 발행하려면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데다 자금의 용처에도 제한이 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