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억류 인질구출 실패는 ‘우유부단’ 백악관 탓”

“IS 억류 인질구출 실패는 ‘우유부단’ 백악관 탓”

입력 2015-02-16 11:00
업데이트 2015-02-16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계자들 “검토 오래하다 실기”…백악관은 부인

수니파 근본주의 무장세력 ‘이슬람 국가’(IS)에 억류된 미국인 인질 구출작전 과정에서 최종 승인권을 가진 백악관이 제때 결정하지 못해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워싱턴포스트(WP) 신문은 희생된 인질 가족들의 말을 빌려 백악관이 인질범들과 협상 불가 원칙을 고수하고 구출 작전 검토를 너무 오래한 것이 작전 실패를 가져왔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것이 지난해 6월 26일 사례다. 이날 저녁 국방부는 케일라 뮬러 등 네 명의 미국인 인질들이 억류된 것이 확실한 시리아 내 IS 근거지에 대한 기습. 구출작전 승인을 백악관에 요청했다.

일주일 만에 내려온 승인에 따라 수십 명의 합동특수전사령부(JSOC) 소속 특수부대원들을 태운 헬기들이 칠흑 같은 야음을 틈타 목표에 정확히 착륙했다.

특수부대원들은 빗발치는 총탄 세례를 뚫고 인질들이 억류된 간이 건물에 진입했지만, 인질들은 어디에도 없었다. 발견한 것이라고는 먹다가 만 음식과 한 움큼의 머리칼이 전부였다.

기습 구출작전에 ‘열을 받은’ IS는 우선 세 명의 인질을 잔혹하게 차례로 참수하고 참수 장면 동영상을 올렸다. 이어 마지막 남은 인질로 여성인 케일라 뮬러도 최근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출작전계획에 간여한 일부 관계자들은 작전 실패에 백악관 책임도 있다고 주장했다. 작전계획을 수립해 오바마 대통령 책상에 올려놓는데만 며칠이 걸리는 바람에 작전에 나선 특수부대원들이 실패하기 일쑤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들도 비슷한 목소리다. 결정 과정에서 고위직들의 입김이 세게 작용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작전이 실패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행정부 고위직들은 이런 주장을 강력하게 부인했다. 결정 과정에 직접 관여하는 고위 관계자들은 구출작전의 기획-승인-실행 과정은 ‘초특급’(warp speed)으로 처리된다고 주장했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의 검토와 승인을 요구하는 작전이 있다면 최우선으로 일을 처리한다”면서 “케일라 뮬러 등 네 명의 인질 구출작전의 시계는 대통령이 최고위 보좌진과 회의 중 보고를 받고 승인을 한 금요일부터 다음날 저녁까지 움직였다”고 주장했다.

라이스는 “여러 가지 복잡한 위험성을 고려하면 그 작전은 다른 어느 때보다 신속하게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국방부의 한 고위 관계자도 시리아 영토 한복판에서 이뤄진 구출작전은 투입 부대원들이 전혀 모르는 지형인 데다 다양한 사람들이 관계하고 자신들과 인질 모두의 생명을 위협할 위험성이 높은 성격의 작전”이라면서도 “결과적으로는 깔끔하지 못한 소규모 외과수술이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