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지하철 개통 110주년 에볼라로 퇴색

뉴욕 지하철 개통 110주년 에볼라로 퇴색

입력 2014-10-28 00:00
업데이트 2014-10-28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뉴욕시 지하철이 27일(현지시간) ‘에볼라 패닉’ 속에서 110번째 생일을 맞았다.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와 더불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뉴욕 지하철이지만 올해는 뉴욕 에볼라 환자 발생 후 지하철 타기를 꺼리는 시민들이 늘어나면서 우울한 분위기에서 이날을 기념했다.

뉴욕 지하철이 개통된 첫 날인 1904년 10월 27일 지하철로 15만명이 몰렸다. 뉴욕시 시청에서 맨해튼 북부 145가까지 연결되는 노선이었는데, 타임지는 당시 시민들은 처음 본 지하철을 ‘서커스’ 대하듯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하철 타기는 곧 뉴요커들의 일상이 됐고 더불어 ‘지옥철’에 대한 불평도 늘어났다. 1932년에는 제각각 운영돼온 3개 노선의 통합 관리 문제가 제기됐다.

지금도 출·퇴근 시간대마다 승강장이 혼잡하기는 과거와 다를 바 없지만, 2.75달러의 기본요금만 내면 뉴욕시 어디든 갈 수 있는 가장 싼 대중교통수단이라는 점은 여전히 가장 큰 매력으로 꼽힌다.

그렇지만 뉴욕의 첫 에볼라 환자로 지난 23일 맨해튼 벨뷰 병원에 격리된 의사 크레이그 스펜서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잠복한 상태에서 지하철을 탄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혼잡한 장소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 아니냐는 ‘공포감’이 시민들 사이에 커지면서 덩달아 지하철까지 기피 대상으로 내몰렸다.

뉴욕시장이 직접 진화에 나섰다.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에볼라에 감염된 사람과 같은 지하철 차량을 탄다거나, 이웃에 산다고 그 자체로 위험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불안한 시민들을 진정시키는 데 주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