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95년 평균 95.5세로 세계 최장수국 등극

한국 2095년 평균 95.5세로 세계 최장수국 등극

입력 2013-06-14 00:00
업데이트 2013-06-14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금세기 안에 세계 최장수국이 될 것이라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 또 세계 인구는 오는 2100년 110억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이 13일 발표한 ‘2012 세계인구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출생아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오는 2045~2050년에 88.4세까지 늘어나 일본을 제치고 홍콩에 이어 2위로 뛰어오른다. 또 2095~2100년에는 평균 기대수명이 95.5세로 늘어나 홍콩과 일본을 모두 제치고 세계 최장수국에 등극한다.

한국은 2005~2010년 기준으로 기대수명이 10위권 밖이다. 국제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1년 현재 한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1세로, 장수국 순위 17위다.

일본은 수년째 장수국 1위(83세) 자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2045~2050년에는 추월당할 것으로 예상됐다.

유엔 DESA의 존 윌모스 인구 담당 국장은 국가의 평균 기대수명 증가에 대해 “사회가 점점 평등해짐에 따라 빈부격차가 줄고 국민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영위하게 된 결과”라고 말했다.  유엔은 또 개발도상국들의 인구 급증에 따라 세계 인구가 2050년에는 96억 명을 돌파하고, 2100년에는 11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현재 약 11억명인 아프리카의 인구는 2100년 거의 4배인 42억명으로 폭증할 전망이다.

이밖에 2028년에는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가 된다는 전망도 나왔다. 2011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는 70억명에 달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