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 美 “닉슨·마오 이후 가장 중요한 회담” 中 “신형 대국관계 구축 의지 확인”

[미·중 정상회담] 美 “닉슨·마오 이후 가장 중요한 회담” 中 “신형 대국관계 구축 의지 확인”

입력 2013-06-10 00:00
업데이트 2013-06-1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국 평가

전례 없이 파격적이었던 이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은 성공적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8일(현지시간) 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은 여러 면에서 성공적이었다”면서 1972년 당시 리처드 닉슨 미 대통령과 마오쩌둥(毛澤東) 중국 주석의 만남 이후 가장 독특하고 중요한 회담이었다고 자평했다. 그는 “이번 회담은 파격적이고 회동 시간이 8시간이나 됐으며, 두 정상 모두 임기(오바마는 두 번째 임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열려 의미가 컸다”고 했다. 그러면서 “2002년 당시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과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이 크로퍼드 목장에서 만난 적이 있지만 그때 장 주석은 임기 말이었고 회동 시간도 1~2시간밖에 안 됐다”고 덧붙였다.

중국인민대 국제관계연구원 진찬룽(金燦榮) 부원장도 “신형 대국관계 구축에 대한 양국의 의지를 확인하는 한편 군사협력 등 구체적인 이슈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은 매우 큰 성과”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성과는 두 정상이 격식을 벗어던짐으로써 인간적 친밀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형식을 중시하는 중국 지도자가 무려 8시간이나 미 정상과 얼굴을 맞댔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다는 평가다. 특히 과거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회담장에서 준비한 원고를 낭독하는 수준의 대화를 한 데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답답함을 토로한 전례에 비춰 보면 엄청난 진전이라고 할 만하다. 물론 중국이 집단 지도체제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정상 간 개인적 친분이 현안을 좌우하기 힘들 것이란 회의론도 있다.

랜초미라지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6-10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