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AI 탓에 세계 콩 산업 된서리

中 AI 탓에 세계 콩 산업 된서리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금류·돼지 집단 폐사…사료용 수요 급감 전망

중국의 신종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과 돼지 집단 폐사 등으로 세계 콩 시장이 요동칠 태세이다. AI 등으로 세계 최대 콩 수입국인 중국의 사료용 곡물 수요가 급감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대두 가공업자와 애널리스트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중국의 2013년 곡물 연도(2012년 9월~2013년 8월) 콩 수입량이 5800만t으로 지난해 5920만t보다 2%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장조사기관인 중국식량·오일상무넷의 류셴우(劉賢武) 대표는 “신종 AI의 영향으로 올해 사료용 콩 수요가 최소 50만t 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발전에 따라 주민들의 육류 소비가 크게 늘고 있는 중국은 사료용 곡물 수요가 폭증하면서 2004년 세계 최대 콩 수입국으로 부상했고, 이후 해마다 큰 폭으로 콩 수입을 늘려 왔다. 하지만 H7N9형 AI 확산으로 가금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이에 따른 사료용 콩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앞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774명이 사망한 2003년에도 중국의 콩 수입은 21% 급감한 바 있다. 2006년 H5N1형 AI가 확산했을 때도 수입 증가 폭이 크게 둔화했었다.

실제 신종 AI 발생 사실이 알려진 이후인 지난 12일 다롄(大連)상품거래소(DCE)에서 거래되는 곡물 가격은 t당 3157위안(약 57만원)으로 지난 3월 평균가보다 6.8%나 떨어졌으며 시카고선물거래소(CBOT)의 5월 인도분 콩 선물 가격도 부셸(27.2㎏)당 13.762달러까지 떨어지는 등 전반적인 콩 가격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곡물시장 조사업체인 상하이상품교역컨설팅의 애널리스트 투쉬안(屠璇)은 “돼지 사료 수요까지 줄어들면 올해 (사료용)콩 수입은 크게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04-16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