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제는 공공외교다] 3국3색 문화외교

[이제는 공공외교다] 3국3색 문화외교

입력 2011-08-04 00:00
업데이트 2011-08-0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공외교는 상대 국민의 ‘이해’와 ‘공감’을 얻기 위한 국가 차원의 장기적·전략적 외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외교 가운데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로는 문화외교가 꼽힌다. 문화적 전통이 깊은 유럽에서는 프랑스와 독일, 영국이 각각 정부주도형, 비정부기구형태, 혼합형 문화외교를 대표하고 있다. 한국의 문화외교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들의 3국 3색 문화외교를 살펴봤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와 독일, 영국의 문화외교를 이끌고 있는 문화원 본부들. 사진 왼쪽부터 프랑스 파리의 알리앙스 프랑세즈, 독일 베를린의 괴테 인스티튜트, 영국 런던의 브리티시 카운슬.
프랑스와 독일, 영국의 문화외교를 이끌고 있는 문화원 본부들. 사진 왼쪽부터 프랑스 파리의 알리앙스 프랑세즈, 독일 베를린의 괴테 인스티튜트, 영국 런던의 브리티시 카운슬.
●프랑스 ‘중앙집중형’

프랑스 문화외교의 특징은 정부가 주도하고 관리하는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다. 20세기 전반기엔 문화를 통한 영향력 확대를 중시했지만, 1980년대 들어 문화교류와 문화다양성으로 초점이 이동했다. 프랑스 정부가 지난해 정부 조직 간 중복과 연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 인스티튜트를 설립하면서 프랑스 문화외교는 일대 혁신에 들어갔다. 프랑스 인스티튜트는 외교부 산하이면서도 다른 중앙행정부처 활동을 하나로 조절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기존에 150여개 국가 165곳에 흩어진 프랑스 문화원들을 오는 2013년까지 프랑스 인스티튜트라는 하나의 편제로 묶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로랑스 오에 사무총장은 “장기적인 목표는 브리티시 카운슬이나 괴테 인스티튜트 같은 단일 브랜드로 정착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독일 ‘혼합형’

독일에서는 1951년 창립한 괴테 인스티튜트가 문화외교를 대표하고 있다. 프랑스와는 달리 독일의 문화외교는 정부 차원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독립기관이 협업하는 혼합형 구조를 띠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으로 독일 정부가 전권을 쥐고 전면에 나서는 모양새가 상대 국민들에게 부정적 인상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크리스티네 레구스 괴테 인스티튜트 대변인은 “독일의 친구를 만드는 것이 우리 조직의 목표”라면서 “독일어 보급과 전파, 독일 관련 정보제공, 국제 간 문화협력 등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슈테판 드라이어 주한 독일문화원장은 “독일 문화원의 업무 수행은 독일 외무부와 맺은 협정에 기반한다.”면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공공재단’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영국 ‘비정부기구 형태’

영국 정부는 1934년 외교부에 ‘국가 간 관계를 위한 영국위원회’를 설치했다. 이듬해 이 위원회가 ‘국가 간 관계를 위한 영국문화원’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오늘날 영국문화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국문화원은 외무부와 협력하고 재정지원도 받지만 운영에서는 독립성을 유지한다. 마크 허버트 영국문화원 공보국장은 “1940년부터 여왕에게 수여받은 ‘왕립헌장’에 따라 외국과의 독자적인 문화교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론 비영리조직”이라면서 “예술 교류와 영어 교육, 세계 각국과의 우호 관계 형성이 주요 목표”라고 소개했다. 최근 영국 정부가 긴축정책을 펴면서 영국문화원도 향후 4년에 걸쳐 예산의 26%를 삭감할 예정이다. 허버트 국장은 “문화원 전체 숫자는 그대로이지만 역할 조정이나 사무실 이전 등의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프랑스와 독일의 고민

프랑스와 독일의 공통 고민은 영어의 영향력과 중국어의 부상이다.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이들은 제2외국어로서의 입지 강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로르 쿠드레 로 주한 프랑스문화원장은 “프랑스어는 여전히 제1의 제2 외국어”라고 강조했다. 레구스 괴테 인스티튜트 대변인은 “각국 학교에서 제2외국어로 독일어를 많이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독일어 교사 재교육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으로 유럽 각국의 문화외교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유럽이라는 하나의 틀로 수렴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2006년 유럽연합 내 25개국 30개 기관이 참여해 결성한 EUNIC가 있다. 150여개국 2000곳이 넘는 곳에서 각개약진하던 유럽 각국의 문화원들이 EUNIC라는 이름으로 공동 활동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2만 5000명이 넘는 직원과 25억 유로(약 3조 7000억원)를 뛰어넘는 예산을 가진 초대형 문화원 네트워크인 셈이다. 오에 프랑스 인스티튜트 사무총장은 “유럽의 문화활동에서는 더 이상 국경이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 이해하는 외국인 늘려야”

문화외교의 방향과 전략에 대해서는 나라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보였지만, 유럽 각국의 문화외교 당국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것이 있다.

국가 차원에서 문화원 확충에 정책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점이다.

마크 허버트 브리티시 카운슬 공보국장은 그 이유로 ‘국익’과 ‘더 좋은 세계화’를 들었다.

그는 “문화외교가 단기간에 성과를 내지 않기 때문에 관심을 덜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한국에 관심을 갖고 한국을 이해하는 외국인이 많을수록 정치와 안보, 경제 등 모든 면에서 한국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지금은 경제와 안보 모두 전 지구적 차원에서 생각해야 하는 시대”라면서 “다른 나라를 더 많이 이해할수록 의사소통은 더욱 쉬워진다.”고 강조했다.

베를린·파리·런던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8-04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