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노비스

긍정심리학에서는 자신이 가진 강점에 집중해 행복감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한다. 마이너스 감정을 지양하고 플러스 감정을 지향하면 삶이 만족스러워진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먼은 이러한 메시지를 전하는 ‘긍정심리학’(2002)이라는 책을 펴냈다. 이후 그는 대학원 수업에서 흥미로운 학생을 만난다. 하버드대 수학과 우등생 출신이자 다언어능력자이며, 본인의 헤지 펀드를 운용하는 인물이었다. 긍정심리학의 아이콘이라고 할 만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긍정심리학’에는 커다란 허점이 있어요. 바로 성공과 정복이 누락됐다는 거죠. 사람들은 그저 승리하기 위해 성취하려고 하기도 해요.”

충격을 받은 셀리그먼은 행복에 관해 다시 고민해 긍정심리학을 번성(flourish)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변화시켰다. 여기에는 성취가 포함된다. 뭔가에 노력을 기울이는 까닭은 실리를 얻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저 경쟁자를 물리쳤다는 승리의 기쁨과 성공의 도취에 바탕을 둔 정복감 때문에 거기에 매달린다. 그러한 마음을 가져 본 적 없는 나 같은 사람으로서는 도통 납득이 안 되는 동기부여다.

이와 같은 인물에 영화 ‘더 노비스’를 통해 접근해 볼 수 있다. 주인공 앨릭스(이저벨 퍼먼)는 성취를 추구하는 캐릭터의 전형이다. 물리학과 학생인 그녀는 누구보다 시험 문제를 빨리 푼다. 그리고 제일 늦게 시험장을 떠난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 시험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문제와 답안을 재검토하기 때문이다.

앨릭스는 노를 저어 배의 속도를 겨루는 조정 경기에도 열심이다. 이제 막 조정부에 들어간 그녀는 선배들로부터 ‘노비스‘(초심자)라고 불린다. 승부욕만은 으뜸이다. 특히 동급생 제이미(에이미 포사이스)와의 라이벌 의식을 불태운다. 자기보다 운동 신경이 뛰어난 제이미가 코치로부터 칭찬받는 상황을 앨릭스는 견디기 힘들어한다. 이기려면 온 힘을 다해 실력을 키우자. 그녀는 ‘열심의 화신’ 같다. 매일 새벽에 일어나 탈진할 때까지 훈련한다. 그러면서 앨릭스는 매번 스스로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뭐든 열심히 하면 좋은 거라고 할지 몰라도 그녀의 경우는 도가 지나치다. 앨릭스는 홀로 이기려고 할 뿐 동료들과 함께 번성하지 못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자전적 독불장군 이야기로 로런 해더웨이 감독은 인상적인 데뷔작을 완성했다. 그녀는 “도전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는 인간의 투지를 그리고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만한 기존의 문화적 경험”을 지닌 사람은 많지 않을 거라고 밝혔다. 실제로 내용 없이 폼만 잔뜩 부리는 영화라고 혹평하는 리뷰도 보았다. 그러나 그렇게까지 폄하될 영화는 아니다. 강박적으로 성취에 집착하는 앨릭스를 담아낸 촬영과 음악, 편집 자체가 ‘더 노비스’의 매혹적인 내용을 이룬다. 그것을 이해할 수 없음이 곧 그것의 나쁨과 등치되지는 않는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