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애플

영화 ‘애플’
하나의 ‘상실’이 세상을 배회하고 있다. 다른 것은 빼앗지 않는다. 그 상실이 잃게 만드는 것은 자신에 관한 ‘기억’뿐이다. 이름이 무엇인지, 어디에 사는지를 포함해 자기에 대한 어떤 정보도 떠올리지 못한다. 예컨대 신분증 없이 버스를 타고 가다 갑자기 상실과 맞닥뜨린 사람은 졸지에 신원 미상자가 되고 만다. 그런 이들은 병원으로 이송된다. 의사라고 치료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임시 보호를 하고 있다가 가족을 찾으면 그를 인도한다. 가족을 못 찾으면? 그에게 ‘새로운 자아 찾기 프로그램’을 적용시킨다.

●갑자기 기억 잃는 이들 ‘자아 찾기’ 나서

이것이 영화 ‘애플’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지문 확인 등 여러 방법을 활용하면 신원 미상자의 주민 등록 사항을 알아낼 법도 하다. 하지만 ‘애플’의 세계에서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에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 지금 우리가 보편적으로 쓰는 정보통신 기구도 나오지 않는다. ‘애플’의 세계는 우의적이다. 실제 현실에서 영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영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가상현실을 창조했다는 말이다.

데뷔작 ‘애플’로 단숨에 촉망받는 그리스 감독 반열에 오른 흐리스토스 니코우가 던지는 영화적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물음이다. “정체성, 상실, 기억, 그리고 고통에 관한 모든 질문들”.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주제지만 그는 납득 가능한 구체적인 형태로 의문을 전개한다. 이를테면 상실에 습격당한 주인공 알리스(알리스 세르베탈리스 분)가 반복적으로 사과를 먹는 장면이 그러하다. ‘애플’이라는 영화 제목도 거기에서 따온 것인데, 도대체 사과는 무슨 의미를 담은 걸까.

●계속 사과 먹는 주인공 ‘몸의 기억’ 주목

제기될 수 있는 해석 가운데 하나를 소개한다. 그것은 자신에 관한 기억이 머릿속에서 사라지더라도, 몸이 반응하는 감각이나 몸에 새겨진 습관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기억을 잃기 전이나 잃은 뒤나 알리스는 변함없이 사과를 좋아한다. 그러니까 앞의 문장을 다시 수정할 필요가 있다. 기억은 두뇌에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온몸에 구석구석 퍼져 있다. 그래서 새로운 자아 찾기 프로그램은 효과가 없다. 백지가 아닌 이미 완성된 작품에 또 다른 작품을 그려 넣으려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정체성, 상실, 기억, 고통에 관한 질문”

심지어 의사는 모두에게 똑같은 경험을 할 것을 요구한다. “자전거를 타요.” “가장무도회에 가요.” 새로운 자아 찾기 프로그램인지, 동일한 자아 형성 프로그램인지 구별이 안 될 정도다. 그럼에도 알리스는 성실하게 의사가 권하는 방법을 따른다. (불가능하지만) 그가 본인의 ‘정체성’을 재구축하려는 이유는 ‘고통’과 관련이 있다. 알리스는 몽땅 기억을 잃어서 고통을 느끼는 것일까, 아니면 뭔가를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어서 고통을 느끼는 것일까? 실은 쉽게 답할 수 있는 문제다. 인생을 리셋하고 싶을 정도로 무지막지한 괴로움에 시달려 본 사람이라면 더 그럴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