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밥상에 외로웠고, 소박한 밥상에 행복했노라

그는 대통령의 요리사로서 꼬박 2년을 팽팽한 긴장 속에서 지냈다. 하지만 떠나는 순간 누구의 위로도 없었다. 질시 어린 뭇시선뿐이었다. 그러나 세상의 끝, 외딴 남극 기지로 찾아가 노동자들의 찬모로 지내다 떠날 때에는 그들로부터 가슴 울컥한 감사와 환송을 받는다. 세상이 운영되는 씁쓸한 진리이면서도, 궁극적인 지향이다. 밥은 삶인 탓이다.


영화 ‘엘리제궁의 요리사’는 실제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엘리제궁에서 프랑수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의 개인 요리사로서 그의 식사를 책임졌던 여성 다니엘레 델푀의 이야기를 모델로 한 작품이다. 프랑스 최초로 사회주의자로서 대통령에 올랐던 미테랑은 깊이 있는 문화적 소양과 함께 까다로운 음식 취향으로 유명했다. 라보리 오르탕스(카트린 프로)는 엄마, 할머니가 집에서 늘 해 왔던 소박하면서도 맛깔난 조리법을 선보이며 미테랑 대통령의 입맛을 사로잡는다.

단순히 대통령의 셰프를 뛰어넘어 음식의 역사와 세계 등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따뜻한 벗이 된다. 대통령은 외국 대사와의 면담 일정을 뒤로하고 오르탕스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한적한 저녁 시간에 주방으로 직접 찾아와 트뤼플(송로버섯)을 얹은 빵과 포도주를 먹는 등 격의 없는 행동을 이어간다. 그가 등장하기 전 엘리제궁의 셰프로서 자부심을 갖고 있던 메인 주방 셰프들의 질투와 시기는 어쩔 수 없었다. 이들은 오르탕스를 질투하며 인간적으로 가깝게 지내는 그를 ‘대통령의 애첩’으로 폄하한다.

쫓겨나듯 엘리제궁을 나온 오르탕스는 남극 기지로 향한다. 오랜 꿈이었던 송로버섯 농장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많은 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정직하게 노동하며, 노동 이후 먹는 음식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소박한 이들을 만난다. 서양에서는 ‘검은 다이아몬드’로 불릴 정도의 고급 음식으로 꼽히는 송로버섯이다. 대통령이야 얼마든지 빵에 수북이 얹어먹을 수 있는 송로버섯이지만, 노동자들에게는 아주 조금만 넣어서 수프로 끓여 먹는 것만도 충분히 감동스러운 식재료다.

오르탕스는 엘리제궁을 떠나면서 미테랑 대통령에게 쓴 편지에서 프랑스 법철학자 몽테스키외의 말을 인용하며 이렇게 말한다. “지나친 다이어트를 통해 유지되는 건강은 병이나 다름없습니다.”

부엌에서 정성껏 준비해서 내놓은 맛난 음식을 앞에 두고 열량을 계산하며 벌벌 떨지 말고 먹는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라는 조언이다. 나아가 주체가 아닌 외부의 환경과 조건에 쫓겨다니지 말고 삶의 여유를 갖기를 바라는 당부다. 물론 미테랑은 그렇지 않았다. 그럼에도 늘 독서와 산책을 즐겼던 미테랑에게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거나 아니면 더없이 어울리는 조언일 것이다.

연어로 속을 채운 양배추, 피스타치오를 얹은 크림 타르트, 차우더, 트뤼플 브레드 등 갖가지 프랑스 음식의 향연이 화면을 가득 채우지만, 이 음식들이 한국적 정서와 거리가 있어서인지 마구 식욕을 자극하지는 않는다. 오는 19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