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으로 버무린 신인 여가수의 진정한 자아찾기

영화에 있어 음악의 역할이나 중요성은 강조할 필요도 없지만 그중에서도 첫 번째 유성영화로 기록되는 ‘재즈싱어’(1927)가 재즈 가수의 노래를 삽입했다는 사실, 곧이어 뮤지컬 장르가 크게 사랑받았다는 사실 등은 등장인물의 목소리가 들려주는 음악에 대한 대중적 호기심과 욕구가 얼마나 강한 것인지 말해 준다. 2014년에 개봉한 작품들에서도 주인공의 노래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었는데, 그중에는 ‘인사이드 르윈’, ‘프랭크’, ‘비긴 어게인’ 등 화제의 외화들도 포진해 있다. 공교롭게도 이 세 작품의 주인공은 모두 싱어송라이터로서 성공을 꿈꾸는 청년들이다. 여기, 자신의 노래로 인정받기 원하는 또 한 명의 뮤지션이 합류한다. ‘블랙버드’(28일 개봉, 15세 관람가)는 신인 여가수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대중적인 드라마와 음악으로 잘 직조해 낸 작품이다.


차세대 섹시 스타로 주목받고 있는 ‘노니’는 화려한 생활과 달리 마음속 깊이 병들어 가고 있다. 철저히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거부감, 가난했던 과거를 지우려는 듯 딸을 혹독하게 채근하는 엄마와의 갈등이 계속해서 그녀를 괴롭힌다. 노니가 행복해지기 위해 극복해야 할 이 두 가지 장애물은 동일한 문제처럼 합체돼 있다가 어느 순간 분리되는데, 이 지점이 흥미롭다. 노니의 경우 진정한 꿈을 성취하는 것과 엄마의 그늘에서 벗어나 온전히 독립하는 문제가 교묘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는 두 갈등의 실마리를 다른 곳에서 찾음으로써 이야기를 단계적으로 풀어 나간다.

먼저 노니는 스타의 화려한 껍질을 완전히 포기하고 과감하게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녀가 인조 손톱과 가발을 떼어 낸 후 악기도 없이 목소리로만 노래하는 장면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이 부분은 또한 노니 스스로 선정적 이미지가 아닌 실력 있는 뮤지션으로 대중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만드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그렇게 주인공이 영웅으로 거듭나기 위한 문턱에서 노니는 엄마와 다시 충돌한다. 그녀가 이 마지막 관문을 통과하는 방식은 자신에 대한 엄마의 희생과 수고를 욕망과 구분하고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다. ‘모녀’라는 감성적 연대를 과감히 끊어 낸다는 점에서 다소 저돌적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 영화는 이것이 노니가 새장을 벗어난 ‘블랙버드’처럼 날아오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임을 역설한다.

생계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극한상황에서 음악이라는 꿈을 위태하게 부여잡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비해 노니의 고민은 아무래도 가벼워 보인다. 케빈 코스트너와 휘트니 휴스턴의 ‘보디가드’(1992)를 연상시키는 로맨스를 비롯해 상업적 코드들에 지나치게 안주하려는 경향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세팅과 연기의 디테일에서 묻어나는 여성 감독 특유의 섬세함, 탁월한 내러티브의 리듬감 등은 여러 단점을 덮어 준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음악과 볼거리, 긍정적 기류가 말초신경에 착착 감기는 작품이다. 28일 개봉. 15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