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종의 도박이고, 모험이죠.”

 아이돌 산업은 이미 포화 상태다. 성공률이 희박하다. 그럼에도 가요 제작자들은 부나방처럼 끊임없이 덤벼든다. 바늘구멍보다 조금 넓은 가능성 정도지만 성공하기만 하면 단시간 내에 고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7년 SM, YG, JYP 등 국내 대형 가요기획사에서 각각 소녀시대, 빅뱅, 원더걸스를 내놓은 것은 기업의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일종의 자구책이었다. 톱가수에 비해 신인 가수는 투자 대비 수익률이 높은 편이다. 예상은 적중했고 이들 2세대 아이돌 그룹이 성공을 거두면서 아이돌 열풍은 중소기획사로 옮겨붙었다.

 포미닛, 비스트(큐브), 씨엔블루(FNC), 시스타(스타쉽), 시크릿(TS), 인피니트(울림) 등 인기 아이돌 그룹은 회사의 브랜드와 규모도 함께 키웠다. 불황에도 아이돌 산업이 명맥을 이어 가고 있는 이유는 회사 브랜드별로 구축된 팬덤이 후속 그룹에까지 이어지면서 팬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인기 그룹을 성공시킨 노하우와 인맥,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 기획사들은 일종의 재투자 개념으로 연이어 ‘동생 그룹’을 내놓으면서 팬덤을 유지해 간다. 1세대 아이돌인 HOT와 SES를 키워 낸 SM이 동방신기 이후 슈퍼주니어, 샤이니, 엑소 등을 내놓고, 소녀시대 이후 에프엑스, 레드 벨벳 등을 내놓은 것이 대표적이다. YG에서도 빅뱅의 뒤를 잇는 위너를, JYP에서 2PM에 이어 갓세븐을 데뷔시켰다. 아이돌 그룹의 수익은 대부분 행사나 광고, 해외 공연, 기념품 사업 등에서 나는 경우가 많은데 막강한 팬덤은 이를 뒷받침하는 힘이다.

 아직은 낯선 신인 아이돌 그룹에게도 생존 전략의 틀은 있다. 늘 새로운 얼굴을 필요로 하는 TV 예능이나 드라마다. 바로 원소스멀티유즈(OSMU) 전략이다. 외모는 물론 끼를 갖춘 신인 아이돌은 탐나는 예비 방송인이고 신인은 이를 인지도 상승의 발판으로 활용한다. 예컨대 ‘걸스데이’의 멤버 혜리는 지난해 MBC ‘진짜 사나이’에 출연해 ‘앙탈애교’로 화제를 모으더니 단숨에 20억원의 광고 수익을 올렸다. 한 걸그룹 소속사의 이사는 “배우의 경우 인지도를 쌓는 데 긴 시간이 걸리지만 가수의 경우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정상의 자리에 오를 수 있고, 부대 수입이 엄청나기 때문에 도박 같지만 모험을 걸어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보이 그룹은 국내에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유지하면 해외 공연으로 수익을 내는 데 큰 문제가 없다. ‘초신성’처럼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일본에서만 1년에 3회 이상 투어를 돌며 자리 잡은 팀도 있다. TS엔터테인먼트의 김영실 본부장은 “남성 아이돌은 걸그룹에 비해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 손익분기점이 다소 늦지만 동남아시아 시장은 물론 앨범 구매가 높은 일본 시장이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롱런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 남성 그룹 소속사의 담당자는 “통상 아이돌 그룹은 한 번 앨범을 내는 데 최소 10억원이 들고 기본 투자 개념으로 1년간 세 장의 앨범을 내면 30억원에서 최대 100억원의 비용이 들지만 꾸준한 투자가 된다면 보통 3년부터는 손익분기점을 넘고 이후 수익을 내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물론 마냥 순탄할 리는 없다. 특히 대형기획사 소속이 아닌 아이돌 그룹의 전도는 험난하기만 하다. 당대에 유행하는 프로듀서가 작곡한 비슷비슷한 곡을 들고나오는 그룹이 많아 개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음악보다 이미지로만 승부하는 현재의 아이돌 산업은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지난해 음원 차트만 봐도 섹시함이나 칼군무를 앞세운 음악보다는 감수성에 호소하는 노래들이 대세를 이뤘다. 빅뱅의 지디, 비스트의 용준형, 블락비의 지코처럼 스스로 음악 프로듀싱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아이돌의 경우 연기자가 되기 위한 ‘징검다리’로 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중음악 평론가 이애경씨는 “현재 케이팝을 구성하는 아이돌 산업은 음악이 아닌 사람이 중심으로 단기간에 치고 빠지는 비즈니스가 됐다”면서 “좀 더 장기적인 안목으로 가수를 키우고 케이팝이 밴드나 포크 등 다양한 장르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무리 치열한 경쟁에도 생존자는 있게 마련이다. 몇몇 신인 아이돌은 대형 기획사의 물량 공세 속에서도 자신들만의 개성으로 틈새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했다.

 ‘마마무’는 ‘썸남썸녀’, ‘피아노맨’ 등을 히트시키며 지난해 나온 걸그룹 중 단연 두각을 나타냈다. 멤버들 스스로 안무에서 스타일까지 직접 하면서 차별화했다. ‘자생돌’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피아노맨’의 경우 예쁘게 보이기보다는 시원시원한 가창력과 이를 돋보이게 하는 퍼포먼스로 호평을 받았다.

 이들의 연습 기간은 3년. 기계적으로 만들어지는 아이돌과 달리 주입식이 아닌 ‘자기 주도형 트레이닝’ 방식을 택했다. 이들은 1~2주에 한 번씩 발라드나 춤이 없는 외국곡을 빠른 템포로 편곡해 퍼포먼스, 안무, 메이크업, 의상까지 직접 짜는 미션을 거쳤다. 소속사인 WA엔터테인먼트의 임승채 이사는 “스스로 생각하는 창의성을 키워 주다 보니 무대에서 자신감도 생기고 애드리브도 자연스럽게 나왔다”고 말했다.

 지난해 ‘데인저’, ‘상남자’ 등의 신곡을 히트시킨 ‘방탄 소년단’ 역시 치열한 아이돌 전쟁에서 살아남은 남성 그룹 중 하나다. 이들이 취한 전략은 또래 10대를 공략하는 정공법. 데뷔 초 일명 ‘학교 3부작’으로 10대들의 꿈과 반항, 사랑 등을 멤버들이 직접 작사하고 랩을 하면서 또래의 감성을 자극한 것이 주효했다. 아직 경제적 자립도가 떨어지는 10대를 타깃으로 했다는 점이 한계로 비치기는 하지만 점차 팬층을 넓혀 간다는 계획이다.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데뷔 때부터 설정한 ‘10대가 쓰는 10대 이야기’, 그리고 ‘10대의 첫 아이돌 그룹’이라는 콘셉트가 주효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7인조 남성 그룹 ‘빅스’는 데뷔 3년차인 지난해 차세대 남성 아이돌로 자리매김하는 데 성공했다. 두 번째 미니앨범 타이틀곡인 ‘에러’는 각종 음악 방송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일명 ‘콘셉트 돌’로 불리는 이들의 비밀 병기는 다양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퍼포먼스다. 이들은 신곡을 낼 때마다 뱀파이어, 좀비, 싸이보그, 밀랍인형 등의 콘셉트에 맞춰 의상 및 무대를 꾸몄다. 한 편의 뮤지컬처럼 스토리텔링 식의 무대로 자신들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부각시켰다. 이들은 박효신, 성시경 등 발라드 가수가 소속된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가 처음 내놓은 아이돌 그룹이다. 김숙경 젤리피쉬 본부장은 “처음에는 아이돌 그룹에 대한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아 힘든 점도 있었지만 짜임새 있는 무대 구성을 하는 퍼포먼스 아이돌이라는 점 때문에 일본·중국 등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