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추락하는 우주쓰레기/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추락하는 우주쓰레기/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2-11-06 20:20
업데이트 2022-11-0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금요일 스페인의 하늘길이 약 40여분 동안 폐쇄됐다. 그 여파로 바르셀로나공항 등 46개 공항에서 300여편의 항공기 운항이 차질을 빚었다. 급박한 천재지변이나 전쟁 상황도 아닌데 스페인 당국이 영공을 폐쇄한 이유는 중국이 쏘아 올린 로켓의 잔해물, 일명 우주쓰레기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중국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창정5B호 잔해물은 한국 시간으로 4일 오후 7시 1분 대기권 진입 후 스페인 상공을 통과해 남아메리카 서쪽 태평양 적도 부근에 추락했다.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의 마지막 모듈 ‘멍톈’을 장착한 창정5B호는 무게가 무려 837t에 이르는 초대형 발사체다. 추락한 잔해물도 길이 31m, 직경 5m, 무게 21t으로 상당히 크다. 일반적으로 우주 발사체 잔해물은 대기권에서 불타 소멸하지만 이처럼 덩치가 크면 전소되지 못하고 남은 파편들이 지상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창정5B호는 2020년 5월, 2021년 4월, 지난 7월 등 세 번이나 잔해물이 추락한 전례가 있다. 천만다행으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매번 추락 예상 궤도 주변 나라들은 가슴을 졸여야 했다.

글로벌 우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주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우주쓰레기는 수명이 다했거나 고장 난 위성, 부서진 우주선 파편 등 말 그대로 쓸모가 없어진 잔해물들이다.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지름 10㎝ 이상의 우주쓰레기는 3만 4000개에 달한다. 1㎜의 작은 크기라도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충돌로 인한 피해는 상상 이상이다. 2013년 개봉한 영화 ‘그래비티’는 우주쓰레기의 가공할 위력을 충격적으로 보여 준다.

다행히 국제사회의 대응 노력도 활발하다. 지난달 10~14일 제주에서 열린 ‘제40차 국제우주쓰레기조정위원회총회’(IADC)가 대표적이다. IADC는 미국, 중국, 영국, 일본 등 13개 선진국이 우주쓰레기로 인한 지구 궤도 환경 문제를 논의하고자 1993년 출범시킨 협의체다. 한국은 2014년부터 활동 중이다. 우주쓰레기 제거 기술 개발도 한창이다. ESA는 2025년 스위스 스타트업과 손잡고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리어런스 1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우주 SF영화 ‘승리호’가 현실화될 날도 멀지 않았다.

이순녀 논설위원
2022-11-0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