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연리근(連理根)/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연리근(連理根)/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3-08-21 02:13
업데이트 2023-08-21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남 서판교에서 청계산을 오르다 보면 국사봉 못미처서 ‘연리근’ 소나무를 만나게 된다. 자주 가는 곳인데도 볼 때마다 숙연해짐을 느낀다. 마치 두 사람이 핏줄로 연결된 듯 뿌리가 이어져 있는 두 그루의 소나무. 수십 년간 서로 양분을 공유하며 자란 모습이 평생 한눈팔지 않고 백년해로한 부부를 보는 듯하다.

연리(連理)는 두 나무가 가까이 자라다가 서로 겹쳐 하나가 된다는 의미다. 뿌리가 하나 되면 연리근, 줄기가 겹치면 연리목, 가지가 만나면 연리지란다. ‘연리’는 중국 당나라 때 시인 백낙천이 현종과 양귀비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장한가’에 나온다. 연리지가 되길 원했지만 끝내 이루지 못하고 한만 남겼다는 뜻의 구절이 있다.

연리근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길조로 여겼다고 한다. 소원을 들어 주고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속설이 있다. 부부의 사랑, 부모 자식의 사랑에 빗대 사랑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가족 관계마저 각박해지는 요즘 더없이 소중함이 느껴지는 나무다.
임창용 논설위원
2023-08-2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