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총 1위 엔비디아, ‘고인물’ 한국 증시 활력 찾아야

[사설] 시총 1위 엔비디아, ‘고인물’ 한국 증시 활력 찾아야

입력 2024-06-21 02:30
수정 2024-06-21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엔비디아 본사.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엔비디아 본사.
연합뉴스
인공지능(AI) 반도체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 됐다. 미 엔비디아 주식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주당 135.58달러를 찍었다. 이에 힘입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3조 3400억 달러(약 4620조원)에 다다랐다. 국내 시총 1위인 삼성전자의 10배 수준이다. 그뿐인가. 삼성전자 주가는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의 말 한마디에 춤을 추는 판이다.

엔비디아는 AI 개발과 학습에 꼭 필요한 AI 가속기 시장의 90%가량을 차지한다. 2007년부터 AI 모델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쓰이는 소프트웨어 쿠다(KUDA)의 생태계도 구축해 왔다. 대화형 AI인 챗GPT가 2022년 11월 세상에 공개된 이후 주가가 700% 이상 뛰었다. 주요국과 전 세계 빅테크의 ‘AI 전쟁’에서 사실상 유일한 무기상이 엔비디아다.

미국 증시에서 2001년 이후 시총 1위에 오른 기업은 엔비디아를 포함해 6개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이 2019년부터 시총 1위를 다퉜고, 엔비디아가 이달 초 애플을 제치더니 2주 만에 MS도 제쳤다. 첨단 혁신기업들이 얼마나 치열하게 전쟁 같은 경쟁을 벌이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 준다. 유럽 증시에서도 시총 1위를 두고 명품 기업 LVMH, 비만 신약으로 유명한 노보 노디스크,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이 경쟁 중이다.

반면 우리 증시는 변화가 없다. 삼성전자가 1999년부터 지금껏 시총 1위다. 지난 10년간 10대 기업에 오른 기업도 셀트리온 하나다. 국내 증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업 혁신이 절실하다. 규제부터 풀기 바란다. 다른 나라에서 할 수 있는 건 이 땅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각오를 정부는 다져야 한다. ‘똑똑한 이단아’가 창업할 수 있도록 금융시장과 사회 전반의 인식을 개선하는 일도 절실하다.
2024-06-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