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중 정상 통화, 경제 충격 줄일 실질적 조치로 이어져야

[사설] 한중 정상 통화, 경제 충격 줄일 실질적 조치로 이어져야

입력 2020-05-14 22:24
업데이트 2020-05-15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그제 밤 전화통화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 주석 요청으로 성사된 통화에서 두 정상은 특히 최근 양국이 기업인들의 필수적 활동 보장을 위해 입국절차를 간소화한 ‘패스트트랙’(신속통로) 제도를 신설한 것을 코로나19 대응의 대표적 모범사례로 꼽았다. 두 정상 간 통화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난 2월 20일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로 시 주석은 연내 방한에 대한 굳은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 추가 집단감염의 여지가 남아 있지만 두 나라는 코로나19 1차 대유행을 통제 가능한 수준까지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 정상 통화 이후 양국 간 코로나19 공동대응을 위한 방역 협력이 잘 진행돼 왔다”고 평가했는데 가을 이후 예상되는 2차 대유행을 대비한 방역 협력을 선제적으로 해 나갈 필요가 있다.

코로나19는 방역 못지않은 경제적 과제도 두 나라에 부여했다. 지난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6.8%로 급전직하했으며 그나마 선방한 한국도 마이너스 1.4% 역성장 충격을 겪었다. 두 나라는 이 같은 전대미문의 경제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협력을 극대화해야만 한다. 지난해 기준 양국 간 교역 규모는 2434억 달러로 두 나라의 경제 관계는 운명을 같이하는 공도동망(共倒同亡), 동주공제(同舟共濟)의 관계라고 할 만하다. 양국이 먼저 기업인 ‘패스트트랙’에 합의한 것도 이런 긴밀한 경제 관계가 반영됐기 때문일 것이다.

양회 이후 본격화될 중국의 대대적 경기부양책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기회가 대폭 확대되길 기대한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이후 공고했던 한한령(限韓令)이 최근 완화된 기미가 엿보이는데 이번 기회에 완전히 거둬 주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중국이 동해북부선 연결이나 개별관광 같은 남북 교류협력 사업의 ‘지원군’ 역할을 해 준다면 그 자체로도 역내 경제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미중 갈등이 재고조되는 등의 ‘변수’를 예의주시하면서 한중 간 실질적 경제협력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

2020-05-1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