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中 전승절 행사 국익 우선해 참석 적극 검토해야

[사설] 中 전승절 행사 국익 우선해 참석 적극 검토해야

입력 2015-08-11 00:10
업데이트 2015-08-11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청와대는 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의 항일승전 70주년(전승절) 기념행사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 등도 있고 해서 참석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주 후반쯤 박 대통령의 참석 여부가 결정된다고 한다.

박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문제를 놓고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일본은 치열한 물밑 신경전을 펼치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이 박 대통령이 이 행사에 참석하지 말아 달라고 미국 측이 외교 경로를 통해 우리 정부에 요구했다는 보도를 해서 논란이 되자 백악관은 물론 청와대는 즉각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하고 나섰다. 일본 언론의 보도를 미국이 부인하긴 했지만 박 대통령의 참석에 대해 미국이 내켜 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중국이 세(勢) 과시를 하면서 외교적으로 승리를 거뒀다는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본 역시 중국과 한국이 가까워지는 것을 달가워할 리가 없다.

중국은 이번 전승절 행사를 준비하면서 50여개 국가의 지도자들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아직 러시아와 몽골 정도만 참석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도 참석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중국이 이번 행사 때 신무기를 대거 공개하며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는 것에 대해 서방 지도자들도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우리 역시 아직 결정을 못 했지만 청와대가 검토에 들어갔다는 점에서 일단은 박 대통령이 참석하는 쪽에 무게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이 부른다고 갈 일도 아니며 미국이 말린다고 해서 눈치를 볼 사안도 아니다. 여당 대표가 미국을 방문해 “역시 중국보다는 미국”이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됐지만 외교 문제는 한쪽 방향만 보고 섣불리 결정해서는 안 된다. 판단의 준거는 국익이 최우선이 돼야 하며 어떤 경우든 냉철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주변 여건을 고려해야겠지만 명분과 실리가 있다면 참석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중국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최대의 교역 국가라는 실리를 생각해야 한다.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에 미국이 반대했지만 우리나라가 가입한 전례와 9월 3일쯤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이 열리는 것도 충분한 명분이 된다.
2015-08-1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