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역 입영 위해 눈 수술한 美 영주권 자

[사설] 현역 입영 위해 눈 수술한 美 영주권 자

입력 2010-08-10 00:00
업데이트 2010-08-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영주권이 있는 조재영씨는 조국에서 현역으로 군 복무를 하기 위해 눈 수술까지 받고 어제 육군훈련소에 입소했다. 그는 중학교 3학년 때인 2004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2008년 징병검사를 받을 당시 시력이 좋지 않아 4급 보충역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조씨는 현역으로 복무하겠다는 생각으로 2009년 안구(眼球)에 특수렌즈를 삽입하는 시력교정 수술을 했다. 그해 12월 재신검을 받고 현역 입영 대상자에 포함됐다. 조씨는 “대한민국을 지키는 보람을 느끼면서 조국의 문화도 배울 수 있다는 매력에 군 복무를 선택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영주권이 있기 때문에 군 복무를 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문제될 게 없는 조씨가 자비로 수술까지 하면서 현역 복무를 하기로 한 것은 감동적이다. 스포츠, 연예계에까지 어떻게 하면 군에 가지 않을까 머리를 굴리는 사람들이 많은 세태에서 조씨의 선택은 귀감이 된다. 조씨처럼 외국의 영주권이 있는 29명도 어제 훈련소에 입소했다. 입영을 신청한 해외 영주권자는 서울을 기준으로 2004년에는 19명이었으나 올 들어서는 지난달 말 현재 68명이나 된다. 몸은 이역만리 타향에 있지만 조국을 지키겠다는 젊은이들이 늘어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영국의 앤드루 왕자는 헬기 조종사로 1982년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 전쟁에 참전했다. 미국의 고(故)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남태평양에서 해군 장교로 근무했다. 미국, 영국의 힘은 이 같은 지도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 반면 우리의 지도층은 어떠한가. 정치인, 고위 관료, 법조인, 대기업 고위 임원 중 석연치 않은 이유로 군 복무를 회피한 사람들은 너무 많아 일일이 셀 수도 없을 정도다. 자식의 군 복무를 회피하기 위해 원정출산까지 하는 게 우리나라 아닌가. 부당한 방법으로 군 복무를 하지 않으려는 현상을 한탄하기에 앞서 지도층의 솔선수범이 필요해 보인다.
2010-08-1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