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의 시시콜콜] 가나에서 온 선교사의 편지

[서동철의 시시콜콜] 가나에서 온 선교사의 편지

입력 2013-11-01 00:00
업데이트 2013-11-01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물리학을 전공하고 국방 관련 정부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오랫동안 일한 선배가 있다. 독실한 기독교신자인 것은 알았지만, 50세가 훨씬 넘어 아프리카 가나에 선교사로 갔다는 소식을 몇 년 전 듣고 그 용기가 몹시 부러웠다. 얼마 전부터는 현지 활동을 담은 뉴스레터를 보내주어 흥미롭게 읽고 있다. 그럴수록 아프리카 사람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헌신하는 그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이 미안했다. 한편으로 그마저 우리 기독교의 잘못된 선교 행태를 답습하는 것은 아닐까 내심 우려도 없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보내온 이메일을 읽으면서 걱정을 털어버릴 수 있었다. 그러면 그렇지…. 눈길을 끈 것은 해외 선교의 문제점을 지적한 글이었다. 서구 열강은 막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남미와 아시아,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었는데, 식민 지배를 용이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 바로 선교사였다는 반성에서 글은 시작한다. 그러면서 이 같은 신(新)식민주의가 아직도 일부 선교단체와 선교사들의 사고에 자리 잡고 있다는 현실인식으로 눈을 돌린다. 우리 선교단체조차 세계지도를 펼쳐 놓고 현지 상황은 도외시한 채 자신들의 방식으로 세계를 복음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전 세계에 적지 않은 선교사를 파견하고 있는 한국이지만, 지나간 역사를 돌이켜 보면 오랜 기간 가톨릭을 포함한 기독교의 ‘선교 대상국’이었다. 그 과정에서 무지하기 이를 데 없는 선교에 따라 웃지 못할 피해도 적지 않았다. 프랑스 출신의 페롱 신부도 그런 인물인데, 독일 상인 오페르트의 남연군 분묘 훼손 사건을 일으킨 주범의 한 사람이다. 선교 대상국의 문화를 존중하기는커녕 우리의 조상 숭배 풍습을 이용해 조선 조정과 협상을 벌이려 했던 사건이다. 반면 성공회는 곳곳에 전통적인 한옥의 모습으로 성당을 지어 선교 초기부터 우리 문화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배의 고민도 비슷했다. 지금의 아프리카에서도 선교사는 언제나 지도자 역할을 하고 현지인은 무조건 뒤따라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상황이라고 한다. 현지 사역자를 믿지 않으니 역할을 맡기지 않고 현지 문화와 전통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교사는 현지인을 가르치려 하고, 일부는 낮춰 부르며 비하하기도 한다고 걱정한다. 교회를 지을 때도 현지 건축 양식을 무시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마디로 성공회 성당을 지은 트롤로프 신부 방식의 선교가 아니라 군사·경제적 힘을 믿고 현지인을 종부리듯 하는 페롱 방식이라는 걱정이었다.

우리의 해외 선교 역시 신식민주의로 눈을 가린 상태라고 그는 진단했다. 그러니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고도 성과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결국 내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겸손히 섬기며 친구가 될 때 선교 목적도 완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독교계가 먼저 귀담아들어야 할 얘기가 아닐까.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1-0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