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신문’에 부탁하고 싶은 몇 가지/김성회 국민대 겸임교수·CEO리더십 연구소장

[옴부즈맨 칼럼] ‘신문’에 부탁하고 싶은 몇 가지/김성회 국민대 겸임교수·CEO리더십 연구소장

입력 2012-01-18 00:00
업데이트 2012-0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신문은 오랜 친구다. 신문이 평상시보다 늦게 배달되는 것을 보고 시국의 기미를 실감하곤 했다. 역사의 분수령엔 “호외요 호외”를 외치는 배달소년의 목소리가 함께 떠오른다. 친구와 토론할 때 “신문에 나왔는데…”하며 논박하면 판정승을 거두기 일쑤였다.

요즘 대세가 바뀌었다. 신문은 구문이고, 더는 신뢰의 대상도, 시대의 바로미터도 아니다. 빠르지도 바르지도 않다고 젊은 친구들은 고개를 돌린다. 옛친구에 대한 미련인지 몰라도, 여전히 나는 같은 소식이라도 종이로 봐야 본 것 같다. 온라인 포털, 스마트폰으로 들어가서 읽으려 하면 온갖 잡소식에 낚시질 당하기 일쑤다. 묵직한 해설이나 칼럼을 찾아 삼만리 헤매다 길을 잃기 십상이다. 새벽에 현관 앞에 나를 다소곳이 기다리는 종이신문이 정겹다.

지난 1월 4일 자 서울신문이 보도한 ‘트위터가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전통적인 미디어가 큰 역할을 했다.’라는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크다. 나와 같은 종이신문 팬과 관련 종사자들에겐 기쁘면서도 슬픈 소식이다. 전통미디어가 여론 형성에서 여전히 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안도할 만하다. 하지만 전통언론이 분명한 차별성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소식을 전달하는 창구전파자가 아닌, 생산자로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조기경보음이기도 하다.

뉴미디어인 SNS의 신속성, 화제성, 쌍방향성과 공존하고자 하는 전통언론의 살길은 무엇인가. 균형적 시각과 생산, 눈높이 소통이라고 본다. 첫째, 균형적 시각과 발품을 판 탐사보도이다. 소식의 전달, 전파에서 도저히 전통언론이 SNS를 추월할 수 없음은 삼척동자도 잘 안다. SNS가 ‘손품’이라면 전통언론은 책임감을 근간으로 한 ‘발품’이 강점이다. SNS에서 왁자지껄한 찬반 주장과 ‘아니면 말고’ 식의 중계방송식 고발은 볼 수 있지만, 해설과 대안 마련은 보기 어렵다. 신선도가 아니라 깊이 있고 책임 있는 해설로 승부를 걸라.

최근의 시사 빅이슈는 정치적으로 선관위 디도스 공격사건, 한나라당의 돈 봉투 전당대회 사건, 그리고 사회적으론 학교폭력이었다. 서울신문을 예로 들자면, 학교폭력에 대해선 현상고발기사의 양에 비해 심도 있고 균형 잡힌 문제분석의 질이 아쉬웠다. 반면에 14일 자의 ‘돈 봉투 커버스토리’는 그런 갈증을 없애줬다. 과거 기사에서 돈 봉투란 키워드를 검색해 봐도 알지만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누가’ 했느냐 못지않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느냐이다. 자칫 이슈에 가려 놓치기 쉬운 본질을 짚어줘 돋보였다. 전문가 진단, 선진사례, 정치뿐 아니라 사회 각 분야의 ‘돈 봉투’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명해 주목할 만했다. 또 한 번 우리 사회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되는 테마는 모바일 선거다. 파고는 높지만, 그것이 우리 사회에 미칠 변동과 문제점, 보완점 등에 대해 일반인은 기대와 불안의 마음이 반반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해서도 균형적 시각으로 심도 있게 특집을 다루길 기대한다.

둘째, 눈높이 소통이다. K팝이 2012 트렌드로 국가 경제의 근간으로 뜨는 시대다. 연예면도 산업적·학문적으로 무겁게, 그리고 학술면도 가볍고 재미있게 접근해 읽히도록 하는 크로스 오버적 시각이 아쉽다. 요즘은 일반 조직도 팀제로 운용하며 부서 간 벽 허물기를 시도한다. 신문 지면도 부서 간 벽 허물기로 하나의 사안을 통섭적 시각으로 조망하는 시도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서울신문에서 즐겨 읽는 연재물 중 하나는 ‘고전 인물로 다시 읽기’다. 동서고금 최고 인물들의 이야기는 새로운 자각을 준다. 전문서가 아닌 신문을 읽으며 독자가 기대하는 것은 사실(事實)이나 사실(史實)을 넘어선 오늘과의 접점이다. ‘그곳의 그들 이야기’에 ‘오늘 우리들’과의 접점, 스토리텔링 요소가 가미됐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신문이란 특성을 살려 인터뷰 형식을 취한다든지, 칼칼하게 쟁점 중심으로 이슈를 부각시키는 등의 소통 노력이 더해지면 흥미로울 것이다.

2012-01-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