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입석/ 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입석/ 임태순 논설위원

임태순 기자
입력 2006-02-01 00:00
업데이트 2006-02-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라나는 세대들이야 입석표라는 말이 생소하겠지만 40대 이상의 장노년층에겐 낯익은 단어이다. 열차가 주요 장거리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시절에는 좌석표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입석(立席)은 말 그대로 서서 가는 것을 말한다. 요금은 좌석표에 비해 60∼70% 쌌다. 어렵던 시절 어머니, 할머니 등 어른들은 한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좌석표 대신 입석표를 구입했다. 열차는 승객이 많이 타고 내리는 역들이 있어 큰 역을 지나면 빈 좌석이 나기 마련이다.1∼2시간 앉아 있다 좌석주인이 나타나면 다시 자리를 내주고 그러다 보면 목적지에 닿는다.

좌석에 앉았을 때 가장 난감한 것은 할머니나 아이를 업은 여성이 입석표를 갖고 열차에 오르는 것이다. 잠자는 체하면서 잠시 고민하다 자리를 양보하곤 했었다.

좌석표는 명절에 위력을 발휘한다. 귀성열차의 좌석표를 구하지 못하면 고향행을 포기하게 된다. 콩나물 시루속에서 어린 자녀들과 손을 잡고 장거리 여행을 할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좌석표를 확보하면 뿌듯하다. 차창 밖으로 고속도로나 국도에 승용차가 늘어서 있는 것을 보면 마음이 흐뭇하기 그지없다.

한국철도공사가 설 연휴 동안 KTX에 입석표를 발매한다고 했을 때 개인적으론 괜찮다고 여겼다. 더 많은 사람들이 귀성을 하면 좋지 않겠느냐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1∼2시간 정도 서서 가겠지만 빨리 가는 만큼 귀성승객들이 감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설 연휴 입석표 발매실험은 실패로 끝난 것 같다.

승객들의 반응은 엇갈리지만 ‘편하려고 탔는데 짐짝 같았다.’는 등 반대론자들이 60% 된다고 한다. 반면 귀성전쟁을 치러야 하는 명절에는 필요한 것 아니냐는 옹호론자들은 40%에 그쳤다. 철도공사는 설문조사를 거쳐 추후 명절 입석표 발매여부를 결정하겠다지만 여론의 비난을 무릅쓰고 강행할 것 같지는 않다.

때마침 귀성, 귀경전쟁도 한결 누그러지는 추세다. 역귀성이 느는 데다 유비쿼터스에 GPS시스템 등 첨단 지리정보장치의 개발로 귀성, 귀경교통 흐름도 한결 좋아졌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철도공사의 위험한 실험은 이번이 마지막일 것 같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06-02-0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