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갤럭시폰, 분기 영업익 5년 만에 삼성 반도체 제쳤다

갤럭시폰, 분기 영업익 5년 만에 삼성 반도체 제쳤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21-04-29 18:37
업데이트 2021-04-30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분기 경영실적 발표한 삼성전자

암루타 훈누르칼(Amruta Hunnurkar)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마케팅팀 프로가 1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삼성 갤럭시 어썸 언팩’에서 보급형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A52’와 ‘갤럭시A72’의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암루타 훈누르칼(Amruta Hunnurkar)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마케팅팀 프로가 1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삼성 갤럭시 어썸 언팩’에서 보급형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A52’와 ‘갤럭시A72’의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부가 19분기 만에 다시 회사에서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내는 사업부로 떠올랐다. 가전부문(CE)도 삼성전자가 반도체·스마트폰·가전 중심의 사업부문 체계를 정비해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역대 두번째로 좋은 영업이익을 내며 효자 노릇을 제대로 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매출 65조원 3885억원, 영업이익 9조 3829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8.19%와 45.53%씩 늘었다. 특히 매출은 역대 1분기중 가장 높았고,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지난해 3분기·66조 9600억원)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IM부문은 지난 1분기 매출(29조 2100억원)과 영업이익(4조 3900억원)에서 모든 사업부문을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매출만 따지면 반도체 사업부문보다 실적이 좋았을 때가 많았는데 영업이익에서 1등을 한 것은 지난 2016년 2분기(4조 3000억원) 이후 5년여 만에 이번이 처음이다. 예년보다 두달쯤 당겨 지난 1월에 나온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1’이 출시 57일 만에 100만대 넘게 팔리며 흥행했고, 보급형 스마트폰인 ‘갤럭시A’ 시리즈가 전세계적으로 쏠쏠한 실적을 거둔 것이 주효했다.
삼성전자 서울 서초 사옥 앞에 게양된 삼성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 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울 서초 사옥 앞에 게양된 삼성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
연합뉴스
소비자 가전(CE) 부문도 매출 12조 9900억원, 영업이익 1조 1200억원을 기록하며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갈아치웠다. 2013년 이후 CE부문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긴 사례는 2016년 2분기(1조원)와 2020년 3분기(1조 6000억원)뿐이었다. 맞춤형 가전인 ‘비스포크’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고, 2021년형 QLED TV가 출시 50여일 만에 국내에서만 1만대 넘게 팔리면서 실적을 견인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부문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매출은 19조 100억원으로 괜찮았으나 영업이익이 3조 37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63% 줄어들었다. 지난 2월 미국 텍사스주 폭설로 오스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것이 악영향을 미쳤다. 피해규모는 반도체 웨이퍼 7만 1000장, 액수로 따지면 3000억~4000억원에 달했다. 경기 평택 공장(P2)에 공정 개선을 위한 설비 투자비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미지 확대
한파와 폭설로 멈춰선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전경 오스틴 AP 연합뉴스
한파와 폭설로 멈춰선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전경 오스틴 AP 연합뉴스
한편 이날 실적발표를 한 LG전자도 전통적인 강세 분야인 생활가전을 앞세워 지난 1분기 매출(18조 8000억원)과 영업이익(1조 5000억원)에서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성적표를 받았다. 생활가전 부문은 매출(6조 7081억원)과 영업이익(9199억원)에서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LG전자에 따르면 1분기 생활가전의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경쟁사인 미국의 ‘월풀’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