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주담대가 키운 가계대출…1년 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50년 주담대가 키운 가계대출…1년 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9-03 18:16
업데이트 2023-09-04 0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조 5912억 늘어 총 680조 8120억
연체율도 상승… 부실 우려 확산

이미지 확대
전국 신혼희망타운 입주예정자들이 3일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신혼희망타운 대출금리 인상 반대 및 정상화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2023.9.3 연합뉴스
전국 신혼희망타운 입주예정자들이 3일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신혼희망타운 대출금리 인상 반대 및 정상화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2023.9.3 연합뉴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넉 달 연속 증가세를 그리는 가운데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 규모는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높아지고 있어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0조 8120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 말(679조 2208억원)과 비교해 한 달 만에 1조 5912억원 늘었다. 5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일 뿐 아니라 8월 증가폭(1조 5912억원)은 2021년 11월(2조 3622억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가계대출 증가를 이끈 건 가계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다. 5대 은행 주담대 잔액은 8월에만 2조 1122억원(512조 8875억원→514조 9997억원) 급증했다. 주담대 월별 증가액이 2조원대로 높아진 것은 2022년 12월(2조 3782억원) 이래 8개월 만에 처음이다.

8월 가계대출 급증에는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논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5대 은행의 50년 만기 주담대 잔액은 7월 말 8657억원에서 지난달 24일 2조 8867억원으로 2조원 넘게 불었다. 이례적으로 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8월 25~31일 단 5영업일 만에 513조 3716억원에서 514조 9997억원으로 1조 6281억원 급증했는데 상당 부분이 50년 만기 대출 상품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10일 당국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최근 가계대출 증가의 주범으로 지목한 뒤 은행권은 스스로 50년 만기 상품에 ‘만 34세 이하’ 등 연령 제한을 두거나 아예 잠정적 판매 중단 방침을 밝혔다.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가운데 연체율도 증가하면서 은행권 부실화 리스크도 높아지고 있다. 5대 은행의 7월 말 기준 단순 평균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1%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6월 말의 0.29%보다 0.02% 포인트 높아졌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0.29%로 0.04% 포인트 상승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50년 만기 상품 수요 증가는 원인이 아니라 현상일 뿐”이라면서 “주택담보대출 급증의 근본적 원인은 LTV(담보인정비율) 상한 완화, 부동산 규제지역 해제, 민간 택지 내 분양가상한제 지정 해제, 특례보금자리론 도입 등 부동산 경기 경착륙을 막기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라고 지적했다.
김성은 기자
2023-09-0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