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용산 집무실 은행 지점 어디로...NH농협·KB국민 등 은행권 눈치 경쟁

대통령 용산 집무실 은행 지점 어디로...NH농협·KB국민 등 은행권 눈치 경쟁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2-04-04 17:18
업데이트 2022-04-04 17: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블로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기로 하면서 금융권에서는 청와대 지점 은행의 존속 여부가 때아닌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현재 청와대 안에 있는 은행 점포는 농협은행뿐이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에서는 대통령실 이전에 따라 NH농협은행도 함께 이전할지 주목하고 있다. 어쩌면 다른 은행들로서는 새로운 ‘대통령실 은행 지점’을 차지할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다.

농협은행은 지난 2월 청와대 측과 3년 재계약을 맺은 만큼 대통령실이 이전하더라도 ‘1호 은행 지점’이라는 지위는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4일 “장소에 대한 계약이 아니라 기관 대 기관의 계약이기 때문에 청와대가 이전하면 함께 옮기는 것으로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지점 사업자는 2009년 공개경쟁 입찰을 통해 선정됐다. 2009년 농협은행이 우리은행과의 각축전 끝에 낙찰됐고, 재계약을 통해 현재까지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통령실 은행 지점이 바뀔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부기관들만 이전하고 은행들은 남는다면 현 국방부 지점인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출장소가 반사이득을 보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다만 국방부 지점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군 장병 등이 주요 고객이고, 현재 군과 진행 중인 사업도 많아 국방부와 청와대 둘 중 선택을 해야 한다면 고심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청와대 연풍문 1층에 있는 청와대 지점은 일반인은 사용할 수 없고 청와대 직원들만 사용 가능하다. 은행들이 청와대 입점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실적보다는 ‘청와대 은행’이라는 상징성 때문이다. 우선 청와대가 선정한 은행이라고 하면 이미지 면에서 일반 고객의 신뢰도가 커진다는 기대다. 무엇보다 은행업은 정부의 입김이 센 만큼 청와대 지점은 전략적으로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청와대 관계자들과 인맥을 쌓을 수 있고 각종 정보도 아무래도 빨리 접할 수 있다 보니 은행들의 관심이 크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