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공급대책 뒤 아파트값 하락 가팔라져…1기 신도시 ‘뚝’

8·16공급대책 뒤 아파트값 하락 가팔라져…1기 신도시 ‘뚝’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8-25 13:32
업데이트 2022-08-25 1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정부가 270만호 주택 공급안을 발표한 이후 아파트 가격이 모든 권역에서 더욱 가파르게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이 25일 발표한 8월 넷째 주(8월 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하락했다. 지난주(-0.09%)보다 낙폭이 0.05% 포인트 커졌다. 통상 0.01~0.02% 포인트 안팎이던 낙폭 차가 대폭 확대된 것이다.

특히 수도권은 지난주 -0.12%에서 이번주 -0.18%로 하락폭이 0.06% 포인트나 커졌다. 서울은 -0.09%에서 -0.11%, 지방은 -0.07%에서 -0.11%로 모든 권역에서 0.1%대의 낙폭을 찍었다.

서울은 2주째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특히 종로·도봉·노원·성북구는 0.20%대로 하락폭이 커졌다.

부동산원은 “추가 금리인상 예상과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로 매수 문의가 한산한 가운데 매물가격 하향 조정이 지속되며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이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했다.

1기 신도시 아파트값도 재정비 공약 후퇴 논란 속에서 일제히 하락폭이 확대됐다.

경기 성남 분당과 고양, 안양 동안은 이번주 각각 0.13%, 0.12%, 0.21% 떨어지며 지난주보다 낙폭이 0.06% 포인트씩 커졌다. 지난주 0.13% 떨어졌던 군포는 이번주 -0.16%를 기록했다.

전셋값 약세도 심화하고 있다. 이번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13%를 기록하며 지난주(-0.07%)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

수도권은 -0.10%에서 -0.18%로 낙폭이 0.08% 포인트 떨어졌고, 서울도 -0.04%에서 -0.06%로 약세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

부동산원은 “반전세·월세 전환 및 갱신계약 영향으로 신규 전세수요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부담과 매물 적체가 지속되면서 매물가격이 하향 조정되며 서울의 전셋값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