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상가 임대시장 코로나19에 침체 여전…하락세는 둔화

올해 1분기 상가 임대시장 코로나19에 침체 여전…하락세는 둔화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4-27 14:00
업데이트 2022-04-27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부동산원,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임대가격지수 오피스 상승…모든 상가유형 하락
공유오피스 수요 증가로 오피스 임대가격 상승
상가, 관광객 급감 지속·거리두기 장기화로 하락
자산가치 둔화로 투자수익률↓…공실률 소폭 개선
서울지역 상가는 상권회복 기대감에 하락세 둔화

2022년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동향
2022년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상업용부동산 시장에서 오피스 및 상가 임대가격이 올해 1분기에도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업무용으로 쓰이는 오피스(일반 6층 이상)의 임대가격지수는 오른 반면 상가는 규모와 관계없이 모두 하락했다.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오피스는 0.01% 상승한 데 비해 상가는 중대형(-0.13%), 소규모(-0.15%), 집합(-0.14%) 등 모든 유형에서 하락했다.

오피스는 공유오피스 및 스타트업과 IT업체를 중심으로 오피스 임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이어져 임대가격지수가 상승했다. 공유오피스란 하나의 건물을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나눠 사무공간을 임대하는 것으로, 대체로 직원이 많지 않아 사무실 전체를 빌릴 필요가 없는 스타트업 등이 임차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가 임대시장은 여전히 코로나19의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대비 외국 관광객의 급감 수준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고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상권 침체가 지속되면서 전체 상가 유형에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고 한국부동산원은 설명했다.

다만 서울 지역에선 일부 상권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하락세가 둔화됐다. 압구정 및 동교·연남동 상권에는 유명 팝업스토어가 입점하고 주택 개조를 통한 상권 형성이 활발히 이어지면서 임대료 상승 추세가 나타났다. 반면 광화문·종로 등 도심 상권에서는 유동인구가 감소하고 매출 부진이 지속돼 전분기 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3개월간의 부동산 보유에 따른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은 기준금리 상승과 투자수요 위축에 따른 거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자산가치 상승이 둔화하며 모든 유형에서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유형별 투자수익률은 오피스 1.99%, 중대형 상가 1.68%, 소규모 상가 1.47%, 집합상가 1.55%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 10.4%, 중대형 상가 13.2%, 소규모 상가 6.4%로 나타났다. 오피스는 공유오피스 수요 증가 등으로, 상가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짐으로 모두 공실률이 소폭 개선됐다.
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