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이어폰

똑똑한 이어폰

입력 2013-07-16 00:00
업데이트 2013-07-1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블루투스 음질 저하 없고 음악 장르에 맞춰 음향 조절

과거 휴대형 CDP나 트랜지스터 라디오 등을 사면 하나씩 따라오는 게 이어폰이었다. 때문에 집안 곳곳에 찾아보면 이어폰 한두 개쯤은 굴러다니기 마련이다. 하지만 최근 등장하는 고급 이어폰 가격은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귓속에 쏙 들어갈 만한 크기에 최신 음향기술부터 음질, 음장감까지 구현해야 하는 것이 그들의 임무다.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이어폰을 이용하면 거추장스러운 케이블 없이 음악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음질 저하다. 무선으로 음원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음질을 깎아 먹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인 지티텔레콤 모비프렌 GBH-S400은 이런 음질 저하를 없애주는 기능을 탑재했다. 또 이어폰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팝부터 재즈, 클래식 등 장르는 물론 개인의 취향에 맞는 소리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라디오기능은 기본, 별도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를 장착해 MP3 재생기와 USB 메모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이어폰이 스스로 주변 잡음을 잡아주기도 한다. 자브라 태그나 소니 DR-BT150 NC 등은 비행기, 지하철, 버스 등에서 발생하는 주변의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제거 기능이 있어 소란스러운 곳에서도 깔끔한 음질을 즐길 수 있다. 해당 기술은 갤럭시 S4 등 최신 휴대전화 등에서 먼저 쓰인 기술이다. 최근엔 이어폰에 휴대전화를 찾아주는 기능을 탑재한 제품도 출시됐다.

반면 순수하게 음질로만 경쟁하는 초고가 제품도 등장했다. 음향기기 전문 기업인 슈어가 내놓은 이어폰 SE846은 각각 고음·중음 유닛 1개에 저음 유닛을 2개씩 장착했다. 이어폰 내부에는 또 10개의 스테인리스 플레이트를 둬 음이 이어폰 밖으로 나올 때까지 왜곡이나 음색의 변화를 보이지 않도록 했다. 각각의 노즐 부분은 부식과 음질 저하를 막고자 도금 처리했다. 가격은 120만원대의 고가지만 마니아 층을 중심으로 인기몰이 중이다.

국내 이어폰·헤드폰 시장은 매출 1000억원 규모로 2년 사이 20% 커졌다. 소비자가 5만원 이상 제품 매출이 45%에 달하면서 해외 유명업체들이 앞다투어 한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7-16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