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 관련주 급락...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는 상태” 평가 영향

초전도체 관련주 급락...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는 상태” 평가 영향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3-08-04 10:33
업데이트 2023-08-04 1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 초반 대창·LS전선아시아·서원·덕성 줄줄이 하락

이미지 확대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 LK-99의 모습. 자석(둥근 물체) 위에서 상당 부분이 공중에 떠 있다. 퀀텀에너지연구소 제공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 LK-99의 모습. 자석(둥근 물체) 위에서 상당 부분이 공중에 떠 있다. 퀀텀에너지연구소 제공
무섭게 오르던 초전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세로 돌아섰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상온 초전도체 ‘LK-99’에 대한 학계의 부정적 평가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오전 10시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창(-24.49%), LS전선아시아(-19.82%), 서원(-16.13%), 덕성(-9.29%) 등 초전도체 관련주들이 줄줄이 떨어졌다. 이들 종목은 길게는 일주일 전부터, 짧게는 2∼3거래일간 ‘LK-99’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자 초전도체 관련주로 엮이며 급등했다. 서남은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주가 급등세가 진정되지 않자 이날 하루 동안 매매가 정지된 상태다.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락세를 보인 것은 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가 전날 ‘LK-99’에 대해 “마이스너 효과(초전도체가 자기장을 밀어내며 자석 위 공중에 부양하는 현상)를 보이지 않는다”며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기에 부족하다”고 결론 내린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LK-99가 자석 위에 떠 있는 영상에서 항상 일부가 자석에 붙어 있고 움직인 후 진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만큼 초전도체의 ‘자기 선속 고정 효과’(초전도체가 공중에 뜬 채로 고정되는 것)와도 다르다고 봤다.

LK-99 검증위의 이 같은 잠정 결론이 전날 오후 장 마감 뒤 언론을 통해 전해지자 초전도체 관련주들은 시간외거래에서 일제히 하한가(-10%)까지 내리기도 했다.

초전도체 열풍은 지난달 22일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를 통해 상온 초전도체 LK-99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영하 180도 이하에서 생성되는 초전도체는 실용화에 한계가 있는데 이를 30도 상온에서 구현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다.

초전도체를 상온에서 구현하면 전력을 이용하는 모든 설비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부상열차, 자기공명영상장치(MRI), 핵융합로 등 활용도가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관심이 뜨겁다. 현재 실제 초전도체를 개발한 것이 맞는지에 대한 진실 공방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한편 이날 코스닥시장에서는 모비스(-26.82%), 신성델타테크(-21.46%), 파워로직스(-21.27%), 국일신동(-19.11%), 원익피앤이(-17.26%) 등 종목의 낙폭이 큰 상황이다.
강신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