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주택연금 지급액 1조원 첫 돌파… 가입 건수도 최대

상반기 주택연금 지급액 1조원 첫 돌파… 가입 건수도 최대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07-25 02:24
업데이트 2023-07-25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조 1857억원 지급… 35% 증가
노후 대비 수단으로 ‘집’ 선택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 영향도
평균주택 가격 3억 7100만원

이미지 확대
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지급한 연금액도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고령화 현상에 따라 집을 노후 생활 대비용으로 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가 하면 주택연금이 가입 당시 평가한 주택 시가로 결정되기 때문에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세가 영향을 미친 것이란 분석도 있다.

24일 주택금융공사(HF)가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수는 810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923건)과 비교해 17.1% 급증했다. 주택연금이 도입된 2007년 이후 상반기만 놓고 보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사상 최대 기록이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늘면서 지난 1~6월 연금 지급액도 1조 1857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8739억원)보다 35.7% 늘어난 수치다. 상반기 기준 주택연금 지급액이 1조원을 넘어선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주택연금 총 가입건수(유지 기준)는 지난 6월 말 기준 8만 9417건, 지금까지 지급된 연금액은 총 8조 8692억원으로 9조원에 육박한다. 누적 가입자 기준 평균 주택가격은 3억 7100만원이었으며, 평균 월지급금은 117만 6000원(수도권 134만 3000원, 지방 82만 2000원)이었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의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집에 계속 거주하면서 평생 연금 방식으로 매달 노후생활 자금을 받는 제도다.

주택연급 가입자 증가는 최근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50대 중반에 은퇴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더이상 집을 상속의 대상으로만 보기 어려워진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 8000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900만명을 돌파했다.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도 높은 편인데, 2021년 기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51.4%, 66~75세는 30.5%나 된다.

연금 수령액이 가입 당시 평가한 주택의 시가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집값이 하락하는 국면에서는 조금이라도 빨리 가입하는 것이 월 수령액을 더 받는 방법이란 점에서도 가입자 수가 크게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주택연금 가입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0월 12일부터 주택연금 가입을 위한 보유 주택의 공시가격 요건이 ‘9억원 이하’에서 ‘12억원 이하’로 완화되는 주택금융공사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시행된다.
민나리 기자
2023-07-25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