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성장률 0.7%… 소비 부진에도 수출로 버텼다

1분기 성장률 0.7%… 소비 부진에도 수출로 버텼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4-27 02:14
업데이트 2022-04-27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영향으로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민간소비와 투자는 모두 뒷걸음쳤고, 수출만 홀로 4% 넘게 늘어나면서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됐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속보치·전 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2020년 우리나라 성장률은 -0.9%로 역성장했다. 지난해엔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고 코로나19에 위축됐던 소비가 회복된 데 힘입어 4.0% 성장,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올 1분기에는 반도체·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수출만 4.1% 증가했을 뿐 소비와 투자가 모두 부진해 종합 성장률을 주저앉혔다.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 운수·음식숙박 등 서비스 중심으로 민간소비는 0.5% 감소했고 설비투자(-4.0%)와 건설투자(-2.4%)도 모두 내리막길을 걸었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당초 한은이 제시한 ‘연간 3% 성장’ 달성 가능성에 대해 “산술적으로만 보자면 앞으로 매 분기 0.6∼0.7% 정도 성장하면 된다”며 “다음달 새 성장 경로 전망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2022-04-27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