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음료부터 공공요금까지 줄인상...새해 서민 삶 더 팍팍해진다

식음료부터 공공요금까지 줄인상...새해 서민 삶 더 팍팍해진다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2-01-09 16:59
업데이트 2022-01-09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타벅스 음료 사진
스타벅스 음료 사진
새해 들어 커피, 햄버거를 비롯한 식음료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3월 대선 이후에는 공공요금 인상도 대기 중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민생 경제가 팍팍해진 가운데 물가까지 치솟으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오는 13일부터 음료 46종의 가격을 100~400원씩 인상한다. 스타벅스 가격 인상은 2014년 7월 이후 7년 6개월 만이다. 커피는 최근 1년 새 유일하게 물가가 오르지 않은 품목이었는데, 국제 원두 가격 급등을 더이상 감당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동서식품은 오는 14일부터 커피 제품 가격을 평균 7.3% 인상할 계획이고 매일유업은 새해 들어 컵커피 제품값을 10% 안팎 올렸다.

버거킹은 지난 7일부터 버거류 25종을 포함한 총 33종의 가격을 평균 2.9% 올렸다. 와퍼(단품)는 6100원에서 6400원으로, 와퍼 주니어는 4300원에서 4400원으로 올렸다. 앞서 롯데리아도 지난달 경영비용 증가를 이유로 제품 판매가격을 평균 4.1% 올렸다.

맥주 가격 인상도 불가피해 보인다. 정부는 오는 4월부터 1년간 맥주에 붙는 세금을 ℓ당 20.8원 올리기로 했다. 막걸리 주세도 ℓ당 1.0원 오른다. 국민 70% 가까이가 가입한 실손의료보험 보험료도 가입 시기에 따라 평균 9~16% 인상된다. 올해 갱신 대상인 가입자 중에는 그동안 누적된 인상률이 적용돼 2배 이상에 달하는 보험료 폭탄을 맞는 사례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2분기부터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도 단계적으로 인상된다. 전기요금은 4월과 10월 두 차례 인상돼 연평균 5.6%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가스요금은 5월, 7월, 10월 등 세 차례에 걸쳐 오른다. 월평균 2000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을 사용하는 가정의 가스요금은 현재 2만 8450원에서 총 4600원이 올라 10월 3만 3050원에 달할 예정이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