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살리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농어촌 살리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12-24 18:10
업데이트 2019-12-25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판로 개척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경남 진주 딸기, 동남아 수출로 ‘대박’

이미지 확대
한국남동발전의 지원으로 경남 진주시 수곡면에 조성된 ‘KOEN 농촌복지센터’에서 현지 채용된 직원들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생산 작업을 하고 있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제공
한국남동발전의 지원으로 경남 진주시 수곡면에 조성된 ‘KOEN 농촌복지센터’에서 현지 채용된 직원들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생산 작업을 하고 있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제공
겨울철 제철 과일은 딸기다. 국내 딸기 생산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산지는 경남 진주다. 특히 진주시 수곡면은 동남아 수출로 전국 최초로 수출 1000만 달러 기록을 달성했을 정도다.

앞으로 딸기를 비롯해 진주 농산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유통될 수 있는 계기가 열렸다. 지난 10월 진주시 수곡면에 ‘KOEN 농촌복지센터(사랑그린숲)’가 문을 연 덕분이다. 한국남동발전이 2017년부터 농어촌 소득 증대와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자 출연한 15억원의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 종잣돈이 됐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출연기금 관리와 사업심의 및 감독을 맡고 사회복지법인 사랑그린이 사업을 총괄 수행한다.

작업실 21개실 규모로 조성된 사랑그린숲은 현지 농산물을 활용한 제품 생산과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활용된다. 사랑그린은 취약계층 12명을 포함해 모두 23명의 지역 일자리를 창출했다. 또 내년엔 50개, 2021년 70개의 지역 농가와 양해각서(MOU) 협력 체계를 구축해 이들의 수급과 판로 확대를 도울 예정이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에 따라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농어촌을 지원하고 민간 기업과 농어촌 간 상생협력 촉진을 위해 2017년 1월 발족했다. 협력기금은 이달 기준 737억 4280만원이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김순철 사무총장은 “기금을 통해 농어촌 지역개발과 활성화에 272억원 이상 지원됐다”면서 “다만 기금 규모가 목표인 3000억원의 4분의1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9-12-2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