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누르니 ‘풍선효과’…강북 아파트값 상승폭 커져

강남 누르니 ‘풍선효과’…강북 아파트값 상승폭 커져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2-02 14:22
업데이트 2018-02-02 1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강남권 일반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확대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114는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주(0.43%)보다 0.54% 올라 상승 폭이 커졌다고 2일 밝혔다.

앞서 1일 한국감정원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값이 0.31% 올라 2주 연속 상승 폭이 둔화된 것과 다른 결과다.

감정원과 부동산114는 조사 대상 아파트와 조사방식, 통계 산출 방법 등이 서로 달라 시세 조사 결과에도 차이가 있다.

이번 주 부동산114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는 강동(1.91%)·마포(1.01%)·성동(0.97%)·영등포(0.75%)·동작(0.74%)·송파(0.69%)·용산구(0.69%) 순으로 상승했다.

강동구의 경우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등 정부 규제를 벗어난 둔촌 주공아파트가 초강세를 보이면서 한주 새 2% 가까이 올랐다.

또 마포·성동·용산구 등 도심권 인기지역의 경우 재개발 구역 내 주택 가격 상승세로 인근의 일반 아파트값까지 들썩이는 분위기다.

마포구는 도화동 우성,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염리동 마포자이 등이 2천만∼5천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신도시는 강남 접근성이 좋은 위례(1.32%)·분당(0.66%)·판교(0.46%)·광교(0.37%) 등의 순으로 가격이 올랐다.

송파구 장지동 위례아이파크 2차가 2천만∼5천만원 상승했고 분당은 구미동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이 1.92%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주공 7-1단지 신규 분양 호재와 재건축 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별양동 주공 2, 4, 5, 6단지가 2천500만∼5천만원 올랐다.

그 외 성남(0.35%)·의왕(0.27%)·안양(0.09%)·하남시(0.08%) 등이 소폭 상승했다.

전셋값은 대체로 안정세를 보인 가운데 서울이 0.10%, 신도시가 0.01% 올랐고 입주물량이 늘고 있는 경기·인천은 0.04% 하락했다.

역세권 대단지 등 여건이 양호한 단지의 경우 전세수요가 이어진 반면 화성 동탄2신도시, 평택시 등 입주 물량이 증가한 곳은 전셋값 약세를 보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