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디지털 유료콘텐츠 안 산다”…한국인 월 지출액 ‘579원’

“디지털 유료콘텐츠 안 산다”…한국인 월 지출액 ‘579원’

입력 2017-10-25 09:39
업데이트 2017-10-25 09: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문 등 텍스트매체 38원 ‘헐값’…음악 295원으로 최고

우리나라 성인들의 디지털 유료콘텐츠 이용 비율과 이용 액수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유형에 따라 달랐으나 이용률은 0.5∼4.9%에 불과했고, 1인당 월평균 유료콘텐츠 이용액은 579원에 그쳤다.

25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간하는 ‘KISDI스탯리포트’에 따르면 작년 5∼8월 전국 16개 광역시도에서 4천233가구, 9천788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제7회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데이터 분석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양정애 선임연구위원은 이 중 미성년자를 제외하고 성인남녀 8천313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리뷰 쓰기, 투표하기, 평점 주기 등 온라인 관여가 디지털 유료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유형별로 유료콘텐츠의 이용 비율과 전체 표본(콘텐츠 서비스 미가입자와 가입자 모두 포함)의 월평균 이용액을 분석하니 ‘신문/잡지/책(웹툰 포함)’이 0.5%, 38원으로 가장 저조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신문·잡지·책 등 텍스트 기반 디지털 콘텐츠에 쓰는 돈이 월평균 1인당 40원도 안 된다는 뜻이다.

그 다음이 ‘동영상/영화’(1.0%, 54원), ‘게임’(1.0%, 92원), ‘TV 프로그램’(1.3%, 100원)이었으며, ‘음악’이 유료 이용 비율 4.9%에 월평균 295원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하고 유료콘텐츠를 실제로 구매한 ‘유료 이용자’들만 놓고 따진 월 이용액도 5천500∼8천800원 수준으로, 그리 많지 않았다.

양 위원은 “일반적 다른 상품과 달리 무료 대체제가 매우 많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유료 이용을 이끌어 내기가 그만큼 어렵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게시물이나 댓글을 직접 작성하는 등 적극적 관여는 유료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보다 소극적인 공유하기·평점주기·투표하기 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나이가 어릴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남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는 ‘과시형 소비’를 할수록, 상품구매 시 정보를 많이 찾아볼수록 유료콘텐츠 이용액이 컸다.

양 위원은 “유료콘텐츠 판매를 통해 서비스·플랫폼 사업자들이 수익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이용자의 온라인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며, 이를 정교하게 분석해 목표를 명확히 한 마케팅 전략을 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유료콘텐츠 이용자 수 자체를 늘리기 위해서는 직접 참여가 가능한 공모 행사 등 온라인에서 이용자의 관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을 마련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