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꺾이지 않는 계란값… 공급 부족·잇속 챙기는 업자 탓

꺾이지 않는 계란값… 공급 부족·잇속 챙기는 업자 탓

입력 2017-08-14 22:44
업데이트 2017-08-15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산량 하루평균 1000만개 감소

일부업자 시세보다 비싼 값 유지 “올해 안에 평년가격 회복 힘들 듯”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가 사실상 잠잠해졌는데도 계란값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대거 풀린 태국산 수입 계란도 계란값을 잡는 데는 역부족이다. 왜일까.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11일 현재 계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7592원이다. 1년 전(5382원)보다 2210원이나 비싸다. 인상률로 따지면 41.1%다. AI가 한창 기승을 떨치던 지난 1월 계란값이 1만원에 육박했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떨어진 셈이지만 평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비싸다.

현재 산란계 수는 6600만∼6700만 마리다. AI 발생 직전 6900만 마리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계란 생산 기반은 어느 정도 회복된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계란 생산량은 AI 이전과 비교할 때 하루 평균 1000만개 이상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형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관측팀장은 “산란계 마릿수만 놓고 보면 거의 AI 이전 수준에 근접했지만 입식한 지 얼마 안 된 병아리와 산란율이 떨어지는 노계 비율이 높아 계란 공급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 팀장은 “올해 안에는 평년으로 계란값이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내다봤다.

지난 6월부터 수입이 허용된 태국산 계란도 두 달 남짓 사이에 1434만개 풀렸지만 실질적으로 계란값을 끌어내리지는 못했다. AI 발생 전 하루 평균 계란 공급량이 4300만개여서 수입 물량 자체가 절대적으로 많지 않은 탓이다. 일각에서는 여름철 계란 수요 감소와 산지가 하락 등으로 소매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일부 생산업자와 유통업자들이 혼란기에 잇속을 챙기기 위해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는 주장도 내놓는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8-15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