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600대 기업 여성 비율 22%…효성ITX 가장 높아

매출 600대 기업 여성 비율 22%…효성ITX 가장 높아

입력 2017-07-09 13:35
업데이트 2017-07-09 1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의 직원 100명 중 22명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효성ITX로 조사됐다.

9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 중 531곳의 지난해 남녀 비율을 분석한 결과 여성 직원이 22.6%를 차지했다.

이들 기업의 최근 5년간 여성 직원 비율은 2012년 21.3%에서 2013년 21.9%, 2014년 21.7%, 2015년 22.5% 등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총 여성 직원 수는 2012년 22만7천28명에서 2016년 25만4천452명으로 2만7천여명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의 여성 비율이 57.7%로 가장 높았고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49.1%), 운수업(30.9%) 등이 뒤를 이었다.

여성 비율이 가장 낮은 업종은 건설업으로 7.2%에 그쳤다.

2012년과 비교해 여성 비율이 증가한 업종은 도매 및 소매업(6.1%포인트),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6%포인트) 등이었다.

반면 부동산업 및 임대업(-5.9%포인트), 제조업(-0.5%포인트) 등 업종은 여성 비율이 감소했다.

작년 기준으로 여성 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상장기업은 82.4%를 차지한 효성ITX였다.

효성ITX를 포함한 여성 비율 상위 5대 기업은 웅진씽크빅(78.9%), 신세계인터내셔날(72.5%), 신영와코루(71.4%), 아모레퍼시픽(69.2%)으로 조사됐다.

2012년 대비 여성 비율 증가 폭이 가장 큰 곳은 신원(32.3%포인트)에 이어 GS리테일(31.7%포인트), 대명코퍼레이션(28.8%포인트), 자화전자(25.3%포인트), 사조오양(23.0%포인트) 순이었다.

같은 기간 여성 직원 수로 따지면 이마트가 8천871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GS리테일(3천887명), 효성ITX(2천236명), 신세계푸드(2천162명), 롯데쇼핑(1천675명)이 뒤를 이었다.

여성 직원 비율은 1∼99인 기업(16.8%)을 제외하고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100∼199인 기업 14.9%, 200∼299인 18.6%, 300∼999인 18.9%, 1천인 이상 기업 23.3%로 집계됐다.

한경연에 따르면 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워킹맘’을 지원하고 있다.

효성ITX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최장 1년 3개월간 사용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확립했고 휴직이 끝나면 100% 원직으로 복귀하도록 보장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예비맘’ 구성원에게 하루 6시간의 단축 근무를 허용하며, 태아 검진을 위한 외출 및 조퇴 허용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한경연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30위 수준”이라며 “기혼여성 5명 중 1명 수준인 경력단절 문제가 크므로 일과 가정이 양립하도록 기업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