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69%·경단녀-47%…‘정권 맞추기’ 은행 채용의 민낯

특성화고 -69%·경단녀-47%…‘정권 맞추기’ 은행 채용의 민낯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7-02 22:46
업데이트 2017-07-03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정부 때 고졸채용 반짝… 2015년 325명·올해 100명
박근혜 정부 경단녀 채용 돌풍… 2015년 1123명·올해 596명
文 정부 정규직 전환 정책도 업종·회사별 깊은 논의 필요
경기 고양시 일산의 한 특성화고에서 15년째 근무하는 교사 A씨는 반에서 1, 2등을 다투는 제자들조차도 은행권 취업이 바늘구멍 신세로 전락한 탓에 한숨이 늘었다. 이명박(MB) 정부가 은행권 고졸 채용을 강조하면서 우수한 학생들이 특성화고로 많이 몰렸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소홀해져 은행권의 특성화고 출신 채용 규모가 쪼그라들었다. A씨는 “특성화고 출신 학생들의 취업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흔들리지 말고, 적더라도 꾸준히 이어지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반짝’했던 은행권 특성화고 출신 채용은 최고점이던 2015년 기준으로 올해 증감률이 -69.2%이다. 박근혜 정부의 화두였던 경력단절여성(경단녀) 채용 역시 2015년 기준 올해 증감률은 -46.9%이다. 이는 은행권의 ‘정권 따라 코드 맞추기식’ 채용 정책이 용두사미로 전락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2일 서울신문이 2014~2017년 5대 시중은행(신한, KB국민, KEB하나, 우리, NH농협)의 ‘특성화고 채용 현황’을 파악해 보니 2014년 299명에서 2015년 325명으로 9.7% 늘었다. 하지만 2016년에는 183명 채용으로 거의 반 토막이 났고, 2017년에는 100명에 불과해 2015년 채용 대비 3분의1토막 미만으로 떨어졌다. 전년 대비 증감률로는 2016년 -43.7%, 2017년 -45.3%이다. MB 정부 이전엔 시중은행권의 고졸 채용이 거의 없었다는 점을 감안해도 현격한 감소율이다. 기획재정부가 2014년 국정감사 자료로 낸 ‘공공기관 고졸 채용’ 현황을 보면 2009~2014년 산업금융지주와 중소기업은행은 공공기관임에도 6년간 고졸 채용이 고작 0명과 12명(정규직 기준)에 불과했다. 이 기간에 신한, 우리, 하나, 농협(2012년 출범)은행 등은 이 기간 현황 집계를 하지 않았거나 인원을 공개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 당시 ‘돌풍’을 일으켰던 ‘경단녀 채용’ 경향도 특성화고 출신 채용과 ‘닮은꼴’이었다. 5대 은행 경단녀는 2015년 1123명을 기록했지만, 2016년 851명, 2017년 596명으로 쪼그라들었다. 2015년 대비 증감률은 2016년 -24.2%, 2017년 -46.9%이다. 후속 채용이 사라지면, 특정한 기간에만 채용된 고졸과 경단녀들은 조직에서 인사관리와 승진체계 등에서 입지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당사자는 물론 조직도 부담스럽게 된다.

이런 탓에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정권의 손바뀜에 상관없이 성공하려면 충분한 논의와 업종·회사별 등 특성에 맞춰 채용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현재 5대 은행의 비정규직 인원은 농협 2982명, 국민 1295명, 신한 781명, 우리 769명, 하나 431명 등 6300명이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기존 고졸·경단녀 채용에 비해 인건비 상승 부담이 훨씬 커 상당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는 “핀테크가 각광을 받고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오는 만큼 기업들은 정치 지형의 변화가 아닌 사업 비전에 따른 인력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7-03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