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창(廠·공장) 정비가 뭔가요

[경제 알지 못해도 쉬워요] 창(廠·공장) 정비가 뭔가요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7-07-02 22:46
업데이트 2017-07-03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0억탱크·500억 잠수함… 고가 군사장비 신품 수준 AS

탱크나 장갑차, 잠수함 등 군사장비의 가격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쌉니다. “군사기밀”을 내세워 당국이 외부에 정확한 가격을 공개하기 꺼리지만 국산 탱크 한 대 가격은 약 80억원에 이릅니다. 슈퍼카를 수십 대 살 수 있는 금액입니다. 국산 중형 잠수함은 약 500억원, 한국의 주력 전투기 KF16 가격은 약 360억원입니다. 모두 국민의 세금으로 마련한 것들인데, 이런 고가의 장비들이 고장 나면 큰일나겠죠.
대규모 창정비가 이뤄질 육군 K1A1 전차. 현대로템 제공
대규모 창정비가 이뤄질 육군 K1A1 전차.
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 1207억 정비 계약

이런 배경에서 고가의 군사장비는 일정 기간이 지났을 때 ‘창(廠·공장) 정비’라는 것을 합니다. 창정비란 기존에 도입된 군사장비를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분해-점검-수리’ 과정을 거쳐 처음 배치됐을 때와 같은 성능을 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창정비는 말 그대로 공장에 입고된 상태에서 이뤄지는 최상위 단계의 정비입니다. 포신부터 무한궤도까지 모든 부품을 하나하나 분해해 검사한 후 재조립하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길게는 한 대에 4개월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낡았거나 이상 징후가 있는 부품은 모두 새것으로 갈아 끼웁니다. 그사이 기술이 발달해 신형 부품이 나왔으면 업그레이드합니다. 이 때문에 창정비를 마친 제품은 새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선 정비를 마친 제품들을 해외로 수출하는 일도 있으니까요.

방위사업체 입장에서 보면 창정비 분야는 거대한 애프터서비스 시장입니다. 무기를 팔아서 돈을 벌고 또 관리를 대가로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으니까요. 이 또한 전체 시장 규모가 ‘군사기밀’입니다. 방산업체 관계자는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해 차라리 제품을 새로 만드는 게 더 쉽다는 이야기도 나온다”면서 “해당 무기에 대해 속속들이 알아야 하기 때문에 창정비는 주로 해당 무기를 만든 제조업체나 극히 신뢰할 만한 업체가 담당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록히드 “美로 가져와야 고쳐” 갑질도

현대로템(전차), 한화테크윈(자주포), 대우조선해양(잠수함), KAI(항공기) 등이 대표적인 국내 창정비 회사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현대로템은 방위사업청과 1207억원 규모의 K1·K1A1 전차 창정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하지만 애프터서비스 시장에서도 콧대를 높이는 쪽이 있습니다. 국내에 주력 전투기 KF16을 판 미국 록히드마틴인데요, 이들은 ‘기술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창정비를 받고 싶으면 물건을 미국으로 보내라”고 요구합니다. 일각에선 글로벌 방산사의 지나친 갑질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7-07-03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