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87% “올해 경영실적 작년과 비슷할 것”

기업 87% “올해 경영실적 작년과 비슷할 것”

입력 2016-10-30 12:08
업데이트 2016-10-30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경련, 2016년 실적·경영전망 조사

기업의 87%가 올해 경영실적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2016년 3분기 실적·경영전망 조사’ 결과(275개사 응답)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7%가 내수 위축과 수출 부진에도 올해 경영실적을 작년 수준과 유사한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경영실적 전망에 대한 답변을 구체적으로 보면 ‘소폭 개선’ 31.1%, ‘소폭 악화’ 29.6%, ‘동일 수준’ 26.3%로 각각 조사됐다. ‘대폭 개선’은 6.7%, ‘대폭 악화’는 6.3%였다. 3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작년보다 나쁘다고 답한 기업이 39.0%였다.

올해 경영실적이 부진할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로는 ‘소비부진에 따른 내수 위축’(42.6%)과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른 수출 부진’(35.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특히 상위 100대 기업은 43.8%가 ‘수출 부진’을 첫 번째 이유로 꼽아, 글로벌 경기 부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4분기에 시장점유율 확대 및 외형성장(30.0%), 구조조정 및 재무구조 개선(29.3%)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상위 100대 기업의 경우는 4분기 경영전략으로 구조조정 및 재무구조 개선(37.5%)이라고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외형성장보다 내실 다지기에 주력하겠다는 뜻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은 최근 논의 중인 법인세 인상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기업이 법인세 인상 시 매출·수익·고용·투자 등 경영환경이 위축될 것을 우려했다. 반면 법인세 영향이 없다는 기업은 8.4%에 그쳤다.

법인세 인상 시 우려되는 문제로는 ‘투자 여력 축소에 따른 국내투자 위축’이라는 답변이 31.6%를 차지했고, 이어 ‘신규고용 및 임금인상 여력 감소’(23.9%), ‘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 감소’(21.7%) 순이었다.

기업들은 중점 정책과제로 법인세 인상 등 기업 규제강화법안 법제화 최소화(46.0%)를 꼽았고, 다음은 외환·금융시장 안정화(20.8%), 구조조정 자금지원 및 실업대책 강화(12.5%) 순이었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기업 실적도 낙관하기 어렵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기업경영에 부담이 되는 법인세 인상 논의는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