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5만원권 70조 돌파…전체 화폐 77% 차지

시중 5만원권 70조 돌파…전체 화폐 77% 차지

입력 2016-08-18 10:22
업데이트 2016-08-18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수 기준으로는 10장 중 3장꼴

5만원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데다 한국은행의 공급확대까지 가세하면서 시중에 유통 중인 5만원권이 70조원을 넘어섰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5만원권의 발행잔액은 70조4천308억원으로 1개월 전보다 5천876억원(0.8%) 증가하면서 70조원 선을 넘어섰다.

5만원권이 발행되기 시작한 2009년 6월 이래 발행잔액이 70조원선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5만원권은 2010년 1월 10조원을 넘어선 이래 2011년 1월 20조원, 2012년 9월 30조원, 2013년 11월 40조원, 2014년 11월 50조원, 2015년 9월 60조원선을 각각 넘어서는 급증 행진을 지속해왔다.

화폐발행잔액은 한은이 발행해 공급한 화폐에서 환수된 돈을 제외하고 시중에 남아있는 금액을 말한다.

이로써 7월 말 현재 화폐발행잔액(말잔) 91조9천265억원 중 5만원권이 76.6%를 차지했다.

동전을 제외하면 시중에 풀려 유통 중인 전체 지폐 중 금액 기준으로 78.7%가 5만원권이다.

특히 5만원권은 여타 지폐 발행잔액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나홀로 증가세’를 보여 주목된다.

1만원권의 발행잔액은 7월 말 현재 16조2천338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3% 줄었고 5천원, 1천원권도 각각 0.4%, 0.1% 감소했다.

지폐의 발행잔액을 장수 기준으로 보면 5만원권은 지난달 말 14억900만장으로 전체 지폐 발행잔액(47억9천300만장)의 29.4%를 차지했다.

시중에 유통중인 지폐 10장 중 약 3장이 5만원권인 셈이다.

장수 기준 발행잔액은 1만원권이 16억2천300만장으로 가장 많았고 1천원권이 14억9천800만장, 5천원권은 2억6천300만장이었다.

한은은 시중의 5만원권 수요가 급증하자 2014년 6월부터 금융기관의 5만원권 지급한도 관리를 중단하고 공급량을 확대했다.

하지만 5만원권의 환수율이 여타 지폐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지하경제 유입 등의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다.

일정기간 공급한 화폐량과 한은에 환수된 화폐량을 비교한 환수율은 5만원권이 올 상반기 50.7%에 그쳐 1만원권(111.2%), 5천원권(93.5%), 1천원권(94.7%)에 크게 못미쳤다.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현금보유 성향이 커지면서 화폐 유통이 부진해진 데다 현금 은닉 수단으로 고액권이 선호되면서 5만원권의 유통이 줄고 있다는 추정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5만원권의 지하경제 유입 등은 검증하기 어려운 사항이며 5만원권의 회수율은 과거와 비교할 때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