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80여개국서 700여개 프로젝트 ‘톱클래스’

15년간 80여개국서 700여개 프로젝트 ‘톱클래스’

류찬희 기자
입력 2016-06-21 22:52
업데이트 2016-06-21 2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타당성 조사 ADPi는

영남권 신공항 입지 결정 용역을 맡은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은 프랑스 샤를드골공항 등 전 세계 30여개 공항을 소유·운영하는 파리공항공단(ADP)의 자회사다. 2000년 설립된 공항 설계·엔지니어링 전문업체다. 15년간 80여개국에서 700여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국제적으로 전문성과 객관성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는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해 ADPi가 객관적이고 전문성을 갖췄다는 데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면서 “세계 톱클래스 업체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ADPi 용역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모회사인 ADP는 네덜란드 나코 등과 손잡고 1990년 인천국제공항 입지 선정 용역에 참여했다. 2014년 8월 발표한 ‘영남 지역 항공 수요조사 용역’도 ADPi가 맡았다.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에도 참여했다. 다만 제주 제2공항 입지 선정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제2공항 개항 전까지 기존 제주공항의 용량을 늘리는 단기 대책만 맡았다.

그렇다면 왜 입지 선정 용역을 외국 업체에 맡겼을까. ADPi가 국내 연구기관보다 단지 기술력이 풍부하거나 경험이 많아서만은 아니다.

신공항이나 고속철도 등 대규모 국책사업을 추진할 때마다 각 지역의 유치 경쟁이 과열되고 지역 갈등으로 번지기 때문이다. 국내 기관에 용역을 맡길 경우 이해 당사자들이 자칫 정치적 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우려하기 때문에 제3의 외국 기관을 택하게 하고 있다. 정부도 정치적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외국 기관을 택했다. 이번 용역도 ADPi와 한국교통연구원 컨소시엄이 단독 응찰해 용역을 따냈지만 입지 선정은 ADPi가 전담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은 용역 수행에 필요한 자료 제공과 행정 처리만 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6-22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