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주의 폐쇄경영… 넥슨, 상장 전까지 ‘외부 투자’ 거절

김정주의 폐쇄경영… 넥슨, 상장 전까지 ‘외부 투자’ 거절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6-04-06 22:46
업데이트 2016-04-06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주들 주식 팔 때 이사회서 승인 돈 흐름 통제… 보수적 지배구조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48) NXC(넥슨 지주회사) 대표가 꿈꾼 회사는 창의적인 인재들이 자유롭게 드나드는 열린 놀이터였다. 그러나 돈의 흐름만큼은 철저히 통제했다. 개방적인 생태계를 유지하려면 외부 자본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게 김 대표의 오랜 철학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2011년 일본 도쿄 증시에 상장하기 전까지 넥슨은 주주들이 주식을 사고팔 때 이사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등 보수적으로 지배구조를 관리했다. 믿을 수 있는 인맥과 학맥으로 형성된 ‘그들만의 리그’에서 재원을 조달하는 일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벤처업계 일각에서는 진경준 검사장의 넥슨 투자 의혹을 김 대표의 독특한 경영관에서 비롯된 사례로 보고 있다.

김 대표는 외부 투자를 안 받기로 유명했다. 상장에 회의적이었으며 잠재력 있는 개발사를 인수·합병(M&A)할 때는 ‘현찰 거래’를 선호했다. ‘바람의 나라’와 ‘퀴즈퀴즈’로 피치를 올리던 1999년에는 미래에셋의 러브콜을 거절하고 이듬해에는 회사 지분 5%를 현금 300억원에 사겠다는 대한투자신탁(현 하나대투증권)의 파격적인 제안도 계약 당일 퇴짜 놓았다.

지난해 말 출간된 넥슨의 자서전 ‘플레이’를 보면 김 대표는 서울대 졸업반 때 대덕전자에서 경험을 쌓으면서 회사의 자본력보다는 현물과 실체가 있는 제조업의 가치에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 또 2000년 코스닥 거품이 꺼지면서 추락한 벤처 선후배들을 보면서 기업공개(IPO)도 꺼렸다. 투자자의 간섭이 따르는 상장회사에서 기술력과 내실에 집중할 수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생각이었다.

개발자가 대다수인 임직원의 입장은 달랐다. 넥슨보다 늦게 출발한 엔씨소프트와 한게임(네이버)의 상장을 지켜보며 ‘보상’에 목말라 있었다. 김 대표는 2001년 1월 “매출이 3000억원이 돼야 상장하겠다”는 이메일을 전 직원에게 보냈다. 당시 넥슨의 매출은 268억원이었다. 이 일은 많은 원년 개발자 멤버가 회사를 떠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전해진다.

김 대표는 마음에 드는 게임사를 현찰로 사들였다. 지분 교환 방식은 회사 지배구조에 악영향을 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넥슨은 2004년 메이플스토리를 만든 위젯을 현금 400억원에 샀다. 2008년에는 훗날 중국에서 크게 성공한 던전앤파이터의 개발사 네오플을 3852억원에 인수했다. 회사 보유 현금에 넥슨 일본법인과 일본은행을 통해 융통한 돈을 썼다.

벤처업계 관계자는 “오피스텔 방 한 칸에서 시작한 넥슨을 20여년 만에 매출 1조 8000억원의 큰 기업으로 키운 김 대표의 뛰어난 능력은 부인하지 못할 사실”이라면서도 “때때로 그의 특이한 경영철학이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04-07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