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스마트 TV, 앞장서는 삼성·LG

잘나가는 스마트 TV, 앞장서는 삼성·LG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09-14 23:32
업데이트 2015-09-15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 스마트TV 시장, 年 13% 성장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급성장 중인 세계 스마트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침체된 TV 시장 속에서 ‘나 홀로 성장’을 하고 있는 스마트TV 분야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가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셈이다.

14일 시장조사기관 IHS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스마트 TV 판매량은 4019만대로 전체 TV 판매량(9792만대)의 41%를 차지했다. 올해 팔린 TV 10대 중 4대는 인터넷 연결은 물론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TV인 셈이다. 상반기 TV 판매량이 2009년 이후 처음으로 1억대를 밑돌면서 전체 TV 시장이 주춤거리고 있지만 스마트 TV만 유독 고속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스마트 TV는 본격적으로 판매량이 집계된 2013년 상반기 기준 3138만대에서 지난해 3542만대에 이어 올해는 4000만대를 돌파하면서 연평균 13%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 한 해 전체 판매량은 9629만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스마트 TV 시장은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판매량 기준) 1·2위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이끌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 TV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8.2%, LG전자는 15.2%의 점유율을 차지해 나란히 1·2위에 올랐다. 이 같은 기세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삼성전자는 26.4%와 28.5%를, LG전자는 15.1%와 12.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북미와 남미 지역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44.6%와 42.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각각 1위를 달렸다.

한편 LG전자는 이날 스마트 TV로 볼 수 있는 실시간 무료 채널이 50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자체 스마트 TV 운영체제(OS)인 ‘웹OS’를 탑재한 스마트 TV를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채널플러스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채널플러스는 별도의 셋톱박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TV가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 있으면 각종 인기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무료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LG전자의 스마트 TV 운영체제(OS)인 ‘웹OS’는 주요 해외 정보기술(IT) 매체들로부터 “가장 뛰어난 스마트 인터페이스”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도 이달 중 자체 스마트TV에서 33개 채널을 무료로 볼 수 있는 ‘TV 플러스’ 서비스를 시작한다. TV 제조사들은 고품질의 콘텐츠를 자체 제공할 경우 스마트TV 생태계의 주도권을 강화하고 TV 시장 점유율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9-15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