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 3명 중 1명은 비만”

“우리나라 노인 3명 중 1명은 비만”

입력 2014-10-09 00:00
업데이트 2014-10-09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병관리본부 “정상체중 유지 노인도 ⅓에 불과”

우리나라 노인 비만율이 계속 증가해 약 3명 가운데 1명은 비만인 것으로 9일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가 최근 발간한 ‘우리나라 노인의 비만 유병률 추이’ 보고서를 보면 65세 이상의 평균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5.0%에서 2012년 34.2%로 9.2%포인트 증가했다.

대만비만학회의 비만치료지침은 체질량지수(BMI) 25(㎏/㎡)인 경우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25.0∼29.2를 1단계 비만, 30 이상을 2단계 비만으로 나눠 비만 정도를 분류하고 있다.

BMI가 23.0∼24.0인 경우는 비만은 아니지만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위험체중(과체중)이며 18.5∼22.9는 정상체중, 18.5 미만은 저체중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런 기준을 적용해 2013년 국민건강영장소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성 노인의 25.7%, 여성노인의 40.1%가 1단계 또는 2단계 비만이며 허리둘레 기준(남성 90㎝ 이상, 여성 85㎝ 이상)으로는 남자의 26.8%, 여성의 40.8%가 비만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비만에 과체중, 저체중까지 고려하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노인은 남성 42%, 여성 35%에 불과했다.

지역별로 보면 1998년 도시지역 거주 노인(29.8%)이 농촌지역 노인(18.7%)에 비해 비만 유병률은 훨씬 더 높았지만 2012년에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 비만 유병률이 34.7%로 소폭 상승한 데 반해 농촌지역 노인의 비만 유병률은 33.1%로 약 2배가량 증가해 지역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로는 남성 노인의 비만유병률이 1998년 11.2%에서 2005년 27.8%로 크게 늘었다가 2012년 25.7%로 줄었지만, 여성 노인의 비만유병률은 같은 기간 33.3%, 36.1%, 40.1%로 계속 증가했다. 특히 농촌에 사는 여성 노인은 1998년 25.4%에서 2012년 40.3%로 급격한 증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질병관리본부의 김윤아 보건연구관은 “노인 비만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비만인 노인 중 중 본인이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61.3% 정도”라며 “이는 19세 이상 비만 유병자의 비만 인지도(83.1%)에 비해 낮은 수치라 연령이 증가할수록 체중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김 연구관은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현재의 비만 유병률에서 더 증가하지 않더라도 2030년이 되면 비만 노인 수는 지금보다 2배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노력은 노년 건강관리의 필수적 요소”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