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역대 최고치 근접…68.8%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역대 최고치 근접…68.8%

입력 2014-07-11 00:00
업데이트 2014-07-11 08: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년 만에 최고치 경신…광주 남구 81.3% ‘전국 최고’

전세 선호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역대 최고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평균 68.8%로 2002년 4월(68.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이 은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8년 12월 이후 최고치인 69.5%(2001년 10월)에 불과 0.7%포인트 근접한 수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적다는 의미”라며 “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에 최근 아파트 매매가 상승폭은 좁아지고 전세가 상승폭은 커져 전세가율이 계속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의 전세가율이 78.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광주 남구가 81.3%를 기록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80%를 넘긴 지역으로 꼽혔다. 광주는 동구, 서구, 북구, 광산구 등 전 지역이 70%를 넘겼다.

대구는 서구(69.1%)를 제외한 중구, 동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등이 70%를 웃돌아 평균 75.0%를 기록했다.

대전(71.1%)은 서구, 유성구, 대덕구가 70%를 넘겼고 울산(72.2%)은 북구를 제외한 중구, 남구, 동구가 70%를 넘겼다.

그 밖의 지방 시·도는 수원(71.1%), 안양(70.4%), 군포(72.6%), 의왕(72.3%), 오산(70.7%), 화성(73.6%), 강원(72.9%), 충북(71.5%), 충남(74.1%), 전북(75.2%), 전남(72.6%), 경북(73.8%) 등이 70%를 웃돌았다.

서울은 64.0%로 2001년 11월(64.4%) 이후 가장 높은 전세가율을 기록했다. 구별로는 성북구(71.1%)가 유일하게 70%를 상회했으며 한강 이북 지역의 평균 전세가율(66.0%)이 한강 이남(62.3%) 보다 높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